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허진 (상명대학교) 박범준 (상명대학교) 정솔영 (상명대)
저널정보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제30권 제7호
발행연도
2016.7
수록면
60 - 68 (9page)
DOI
10.5207/JIEIE.2016.30.7.060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As wind power market is increasing, the interest of the system connection technology is also increasing. In order to integrate wind power into electrical grid, it is essential to predict wind power outputs as wind power generator’s outputs is influenced by space-time causes such as wind speed, wind direction, temperature, and etc. Many of wind power predictions use the past data based on time-series. As wind power is influenced by space and time. Therefore, we need to predict wind power outputs using spatial modeling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uch as longitude and latitude. In this paper, we propose a wind power prediction system based on Ordinary Kriging. The empirical data, Jeju wind farm’s 2014 hourly power output data, is considered to verify the proposed prediction model based on OK.

목차

Abstract
1. 서론
2. 공간모델링
3. 정규크리깅을 이용한 제주도 풍력 발전단지 출력 예측 및 분석
4.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17)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565-000775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