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문제의 제기
Ⅱ. 당내경선의 법적 수용과 현황
Ⅲ. 미국의 예비선거와 비당원의 참여범위
Ⅳ. 독일에서의 공직선거후보자 공천에 대한 헌법적 논의와 제도
Ⅴ. 한국에서의 당내경선에 대한 논의
Ⅵ.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헌법재판소 1993. 7. 29. 선고 92헌마262 전원재판부〔기각〕
가. (1) 정당(政黨)이나 그 지구당(地區黨)은 적어도 그 소유재산(所有財産)의 귀속관계(歸屬關係)에 있어서는 법인격(法人格) 없는 사단(社團)으로 보아야 하므로, 청구인(請求人)이 지구당(地區黨)의 당원(黨員)일 뿐만 아니라 부위원장(副委員長)으로서 위원장(委員長)의 명(命)에 따라 지구당(地區黨) 소유(所有)의 플래카드를 설치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4. 11. 27. 선고 2013헌마814 전원재판부
헌법 제25조가 보장하는 공무담임권은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는 물론 지방자치단체 등 국가, 공공단체의 구성원으로서 그 직무를 담당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그런데 정당은 정치적 주장이나 정책을 추진하고 공직선거의 후보자를 추천 또는 지지함으로써 국민의 정치적 의사형성에 참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국민의 자발적 조직으로서, 정당의 공직선거 후보자 선출은
자세히 보기대구지방법원 2007. 4. 18. 선고 2006고합785 판결
[1] 공직선거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당내경선’이란, 정당이 당원 등에게 투표권을 부여하여 실시하는 선거를 통하거나, 또는 당내경선후보자를 대상으로 정당의 당헌·당규 또는 당내경선후보자 간의 서면합의에 따라 당내경선을 대체하는 여론조사를 실시하여 정당이 추천하는 공직선거후보자를 결정하는 절차를 의미한다.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정당의 공직선거후보자 추천에 관한 법정책적 고찰
법과 정책연구
2020 .01
The 2020 U.S. Elections: A Mixed Result for the Political Parties
The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
2021 .01
당내경선 과정에서의 당원모집과 공직선거법의 관계 - 대법원 2015. 6. 11. 선고 2015도3953 판결 -
법조
2019 .01
공직선거후보자 선출을 위한 당내경선에서 사퇴한 후보자 득표의 효력에 관한 고찰
공법연구
2023 .02
Party Primaries and Good Governance in Nigeria: A Critical Analysis of All Progressive Congress (APC) Gubernatorial Primaries in Ondo and Ekiti States
Asian Journal of African Studies
2022 .02
정당설립의 자유의 제한과 한계 - 「정당법」상의 ‘전국정당조항’에 대한 위헌심판 결정을 중심으로 -
한양법학
2024 .05
제21대 총선의 비례대표 후보자 공천에 관한 연구: 공직선거법 제47조 제2항의 개정 과정을 중심으로
OUGHTOPIA
2023 .06
당파적 양극화의 비정치적 효과
한국정치학회보
2020 .12
정당등록제도에 관한 헌법적 고찰
공법학연구
2020 .11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당원들의 온라인 정치참여 행태 분석: 21대 총선을 중심으로
미래정치연구
2021 .06
Long-distance Democracy and Political Parties in the Indonesian Overseas Elections
Journal of Global and Area Studies
2021 .01
오픈 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도입론의 헌법적 검토
동아법학
2015 .11
지방공단 상근직원의 경선운동금지에 관한 고찰 -헌재 2021. 4. 29. 선고 2019헌가11 결정을 중심으로-
강원법학
2021 .11
‘비호감 대선’과 정당의 후보 경선에 관한 연구: 경선 방식과 당원구조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보
2022 .06
Voting in a Pandemic: Lessons From the 2020 South Korean Legislative Election
International Economic Journal
2022 .09
한국 주요 정당의 재외동포 정책 비교: 의회와 선거 공간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보
2021 .09
정당의 공직선거 후보자 공천제도 개선방안
헌법재판연구
2019 .01
대의제 민주주의 하에서 정당과 지방자치의 관계
공법학연구
2020 .11
아동․청소년의 민주적 대표성 강화를 위한 정치참여 개선 - 학교영역에서의 정치참여 제한 및 개선을 중심으로 -
공법학연구
2021 .05
고등학교『법과 정치』교과서의 ‘선거의 기본 원칙’:어떤 내용을 어떻게 학습 지도할 것인가
사회과수업연구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