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李載明 (안동대학교)
저널정보
중앙법학회 중앙법학 중앙법학 제18집 제3호(통권 제61호)
발행연도
2016.9
수록면
101 - 134 (3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Constitution of korea provides ‘political parties shall be democratic in their activities’. But the korean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provides ‘every political party may recommend candidates through intra-party competition to run in the elections of public offices’, and ‘the intra-party competitions (including any poll instead of the intra-party competitions, which is conducted on persons who are listed as candidates for the intra-party competitions according to the party’s constitutions, regulations or written agreement that is reached among candidates)’.
According to election act, political parties are is free to primary election. Absence of regulation on primary lead to crisis of party politics. Korean political parties are not necessary to primary election and could nominate a candidate by their committee. In case of primary there is no rule regulate scope of voters and they need not keep the basic principles of election.
At a point of constitutional view, nominate a candidate by political parties is not merely its internal problems, but a part of public election. The government have a duty regulate a primary in accordance with constitutional law. Therefore, political parties must nominate a candidate through primary election and they must keep the basic principles of election. Opinion research or mobile vote are not compatible with the basic principles of election.
Participatory democracy must be harmonized with freedom of association. Nonpartisans could not vote before party affiliation for integrity of political party and prevent party raiding. But, top two primary need not this conditions and it change the primary something different than ever before.
Management of primary by the Election Management Committee is better than by political parties. Make a voters’ list and inquire of it is very important thing in keeping with principles of election.
Above all, the government and political parties should recognize primary as a constitutional issues.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당내경선의 법적 수용과 현황
Ⅲ. 미국의 예비선거와 비당원의 참여범위
Ⅳ. 독일에서의 공직선거후보자 공천에 대한 헌법적 논의와 제도
Ⅴ. 한국에서의 당내경선에 대한 논의
Ⅵ.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3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과 연관된 판례 (3)

  • 헌법재판소 1993. 7. 29. 선고 92헌마262 전원재판부〔기각〕

    가. (1) 정당(政黨)이나 그 지구당(地區黨)은 적어도 그 소유재산(所有財産)의 귀속관계(歸屬關係)에 있어서는 법인격(法人格) 없는 사단(社團)으로 보아야 하므로, 청구인(請求人)이 지구당(地區黨)의 당원(黨員)일 뿐만 아니라 부위원장(副委員長)으로서 위원장(委員長)의 명(命)에 따라 지구당(地區黨) 소유(所有)의 플래카드를 설치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2014. 11. 27. 선고 2013헌마814 전원재판부

    헌법 제25조가 보장하는 공무담임권은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는 물론 지방자치단체 등 국가, 공공단체의 구성원으로서 그 직무를 담당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그런데 정당은 정치적 주장이나 정책을 추진하고 공직선거의 후보자를 추천 또는 지지함으로써 국민의 정치적 의사형성에 참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국민의 자발적 조직으로서, 정당의 공직선거 후보자 선출은

    자세히 보기
  • 대구지방법원 2007. 4. 18. 선고 2006고합785 판결

    [1] 공직선거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당내경선’이란, 정당이 당원 등에게 투표권을 부여하여 실시하는 선거를 통하거나, 또는 당내경선후보자를 대상으로 정당의 당헌·당규 또는 당내경선후보자 간의 서면합의에 따라 당내경선을 대체하는 여론조사를 실시하여 정당이 추천하는 공직선거후보자를 결정하는 절차를 의미한다.

    자세히 보기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360-0013783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