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남혜령 (Chungbuk National Univ) 이병연 (Chungbuk National Univ)
저널정보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KIEAE Journal KIEAE Journal Vol.16 No.6(Wn.82)
발행연도
2016.12
수록면
29 - 38 (1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Purpose: This study is condu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G-SEED) from the existing energy · physical efficiency-centric system to the well-being-centric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Method: In order to modify existing G-SEED Certification, three phases of research have been conducted; 1) identification of needs of well-being-centric environment-friendly construction certification system, 2) comparison of domestic certification system with WELL Building standard(WELL) which focuses on human health and promotion of wellness and 3) AHP analysis to sort out the supplement items from WELL. Result: We proposed four alternatives which should be preferentially introduced to the existing domestic certification system; addition of independent ‘well-being’ section(field) in G-SEED, insertion of ‘well-being’ indicators in each relevant section of G-SEED, addition of ‘well-being’ indicators in ‘Innovative Design(ID)’ of G-SEED and independent score systems for 25 items in a high priority.

목차

ABSTRACT
1. 서론
2. 친환경건축 인증제의 현황
3. G-SEED와 WELL의 인증항목 분석
4. AHP 분석을 통한 WELL의 우선순위 도출
5. 결론
Reference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610-001983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