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대영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저널정보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수산해양교육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제29권 제3호 (통권 제87호)
발행연도
2017.6
수록면
899 - 908 (10page)
DOI
10.13000/JFMSE.2017.29.3.899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llenges related to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change for fishing villages and suggest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fishing village to actively respond to new changes.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fishing village fraternities. Its current problems are summarized as follows: shortage of labor, population aging, entry barrier against newcomers, insufficient guidance and supervision functions, lack of funds of new projects and inadequate statistics and data. The fishing village community in the modern meaning of the term can be understood as an economic and flexible social-cultural community based on openness, cooperation instead of exclusiveness and closeness, which aligns fisheries with local industries. Thus, in order for the fishing village community to improve, the followings areas required. First, strengthening capacity of the fishing village community. Second, establishing the database system and the third, reorganizing the fishing village community into a sea village community.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어촌공동체의 변화 및 현대적 의미의 어촌공동체
Ⅲ. 어촌공동체 실태 분석
Ⅳ. 어촌공동체 발전방향
Ⅴ. 맺음말
References

참고문헌 (1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454-000907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