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창현 (목포해양대학교) 신호식 (목포해양대학교) 임명환 (목포해양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수산해양교육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제29권 제4호 (통권 제88호)
발행연도
2017.8
수록면
967 - 975 (9page)
DOI
10.13000/JFMSE.2017.29.4.967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Ocean and Fisheries there are 989 designated fishing ports in Korea. According to the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research report for in 2014, in last 15 years, fisheries population has shrunk from 251,349 to 147,330. Also, the age of the fishery became older. In the reality of fishing villages, The “Special act on the improvement of fishers and farmers in the quality of life and promotion of farming and fishing communities area development" takes effect on 2015 for improving education conditions and promoting th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development of farming and fishing communities. Fishing policy and research aimed at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has continued, but the aging population and a lack of new income source are not improved yet. Nowadays, fishing villages and fishery ports are facing a great risk from Free trade agreement with other countries aging population, or decrease fish resources. This study suggests that a quality of subsistence fishers can be improved through outcomes from a site survey from fishers, the fisheries cooperative union and coast guard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어촌 어항의 현황
Ⅲ. 생계형 어민·어촌 활성화 문제점 및 개선 방안
Ⅳ.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16)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454-0012009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