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강현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인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이준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홍형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안광학회 한국안광학회지 한국안광학회지 제22권 제3호
발행연도
2017.9
수록면
221 - 228 (8page)
DOI
10.14479/jkoos.2017.22.3.221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목적: 구글 카드보드 타입 가상현실기기(Virtual reality)에서 시청 전 · 후 시기능 및 피로도 변화를 시청 방향을 고정하는 VR Theater와 시청 시 머리 움직임이 필요한 Titans of space cardboard VR 두 가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사시, 부등시 및 안과적 질환과 기타 질환이 없고 교정시력이 1.0 이상이며 입체시가 가능한 21-27세(평균 나이: 24.6±1.91세, 남 10명, 여 10명)을 실험 대상으로 하였다. 안경 착용자는 제외하였다. 실험 방법은 VR 시청 전 시기능 검사 및 피로도 설문을 진행하고 VR을 20분 사용 후 다시 시기능 검사 및 피로도 설문을 진행하였다. 시기능이나 피로도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실험 다음날 다른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을 시청하여 실험하였다. 결과: VR 사용 전·후의 시기능 값은 폭주 근점과 조절 용이성에서 일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비정상값으로 변하는 정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피로도 값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두 가지 애플리케이션 모두 전체적인 피로도가 증가하였고, 영상 시청 애플리케이션보다 우주 체험 애플리케이션에서 일반적 불편감(General discomfort), 메스꺼움(Nausea) 항목의 피로도 증가 수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p<0.05). 결론: 시기능 검사에서는 VR 체험 전·후와 애플리케이션 종류에 따라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피로도 조사에서는 두 가지 애플리케이션 모두 체험 후 불편감의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시청 방향을 고정하는 영상 시청 경우보다 머리의 움직임이 많은 체험형 애플리케이션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목차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