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김나현 (인하대) 정혜진 (인하대)
저널정보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대한건축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38권 제1호(통권 제69집)
발행연도
2018.4
수록면
44 - 47 (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Atrium" as an architectural form of "Publicity". In this study, the "Atrium" is an inner daylight transition area connecting the outside and the inside, and it should be able to enter directly from the outside, and organize the building. And "the Architectural Publicity" means "open to all, and available for everyone". So, "Public Space" is "an open space for everyone". There are some physical elements to realize "the Architectural Publicity": Accessibility, Openness, Connectivity, Transparency. As a result of analyzing cases by those elements, all of the atrium has a physical, visual connection with the city. But physical & visual aspects differed according to the program. Finally, the Contemporary Atrium is a "semi-public" space where not all activities are allowed.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아트리움의 역사와 변천
4. 현대 아트리움에 나타나는 공공성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540-0022264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