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Abstract
Introduction
Horizontal Dimension in Buddhist Environmentalism
Vertical Dimension in Buddhist Environmentalism
Conclusion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자연을 자연이게 하라.”: 바이에른 숲 국립공원의 역사로 본 독일 환경주의
역사와경계
2020 .03
통제적 불교관리를 통한 불교중국화의 지향과 현실 ― 「坚持佛教中国化方向五年工作规划纲要」를 중심으로
중국학
2020 .01
조선 光海君代의 佛事 연구- 안동 仙刹寺 목조석가불좌상 造成發願文을 중심으로
석당논총
2017 .01
朝鮮初期 佛敎界의 寶 運營과 그 意味
동국사학
2016 .01
Buddhist Attitude to Society and Social Issues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and Culture
2016 .12
생명윤리와 불교 - 초기불교 계율의 덕윤리적 특성을 중심으로
영어권문화연구
2018 .01
Review of the Korea Archives of Buddhist Culture of the Academy of Buddhist Studies at Dongguk University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23 .12
일본 근현대 재가불교운동의 특징과 전망
불교문예연구
2019 .01
불교수행자의 불교상담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 CQR-M을 중심으로
불교문예연구
2021 .01
불교정화운동의 인식과 현재적 의미
대각사상
2020 .01
Buddhism’s Black Holes : From Ontology to Haunt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and Culture
2017 .12
찬불가의 포교 활성화 방안 - 기독교 CCM과의 비교를 통해 -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3 .06
佛經故事의 中國故事化 과정상의 특징 및 의의 : 佛經淵源類故事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2019 .04
The Buddhist Ideology to Social Welfare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and Culture
2015 .09
Review of “Representing Korean Buddhism: Toward a Transnational Understanding of the Field of Korean Buddhist Studies”
Korea Journal
2021 .09
[서평] 『조선 불교사상사: 유교의 시대를 가로지른 불교적 사유의 지형』[김용태, 2021,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한국사상사학
2021 .08
종교학과 불교학, 그 정체성과관계의 다양성
한국불교학
2016 .01
1950년대 이승만 대통령의 ‘불교 정화’ 유시와 불교계의 정치 개입
사림
2015 .01
『고려사』 기록에 보이는 불교적인 대외교류의 공간적 범위와 성격
석당논총
2024 .03
18世紀 僧匠 義眞의 建築技法과 繼統性
문화사학
2021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