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수정 (홍익대) 윤혜경 (홍익대)
저널정보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第35卷 第1號(通卷 第363號)
발행연도
2019.1
수록면
99 - 106 (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aims to recommend the proper Color rendering index (CRI), the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CCT), and illuminance levels of Light-Emitting Diode (LED) lighting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riteria of the current CRI, the CCT, and illuminance levels in merchandising spaces with LED lighting conditions. It would be a basic material to apply in line with user preference for LED merchandising lighting. To this end, it examines relevant literature review on the experiments designed to test whether lighting characteristics affect brightness perception, color appearance, and pleasantness. Highly saturated colors appear brighter than low saturated colors. Two lighting applications – grocery and clothing shop – were created in elaborating the effect of LED lighting characteristics of CRI on color appearance and the CCT and illuminance on pleasantness. The findings show that the criteria of CIE Ra<80 are appropriate to provide better color appearance of illuminated products in terms of LED lighting that can enhance color saturation, particularly for the red color. Furthermore, 2700 K and less than 500 lux for grocery, 4000 K and more than 500 lux for clothing shop are found to be the proper the CCT and illuminance levels respectively to bring better preference under LED lighting.

목차

Abstract
1. 서론
2. 상업공간의 LED 조명 평가방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
3. 밝기감에 따른 상업공간의 LED 조명 평가방법
4. LED 조명 관련 연색지수, 상관색온도, 조도 실험 문헌 분석
5.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27)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