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Introduction
2. Case marked adverbials and scopal differences in Korean
3. Verbal classifier phrases and scope in Mandarin
4. Event quantifying adverbials and scopal differences
5. Conclusion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Non-aspectual Case and Duration/Frequency Adverbials in Korean
어학연구
2018 .08
Adverbials in L2 English of Korean Children
언어과학연구
2016 .06
Quantifying Events: A Case Study of Verbal Classifiers
영어영문학연구
2018 .01
중국어 전 · 후치 부사어의 형태 기능적 분포 양상에 대한 일고찰
중국어문학논집
2020 .06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통사 및 담화·화용론적 층위에 따른 부사어 위치 이해 양상
이중언어학
2016 .01
19세기 국어 어찌마디의 통어론적 연구
한말연구
2015 .09
The Acquisition of English Time Adverbials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언어
2022 .06
한국어 학습자의 과거시제 형태소 ‘-었-’ 습득 양상-시간 부사와의 상호관련성을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2018 .01
19세기 국어의 어찌말 매인이름씨 연구
한말연구
2018 .01
17세기 국어의 어찌말 매인이름씨 연구
영주어문
2018 .01
A Comparative Analysis of Conjunctive Adverbials Between Korean EFL and Native English Writers in English Abstracts of Doctoral Dissertations
영어영문학연구
2016 .01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event telicity in Korean
언어연구
2023 .03
A Corpus-based Study of Complex Conjunctive Adverbials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8 .04
후치부사절의 영한번역 순서화 양상 및 요인
언어학연구
2016 .01
문맥을 활용한 한국어 격조사 교육 방법 - 부사격조사 ‘ - (으)로’를 중심으로 -
겨레어문학
2016 .12
韩语表工具类副词格助词对译汉语介词的研究
동양한문학연구
2019 .01
近代國語 時期의 副詞格助詞 ‘-에’와 敍述語의 關係 考察
용봉인문논총
2018 .01
Linking Adverbials in Argumentative Essays of Advanced EFL Learners: A Corpus-assisted Analysis
영어학
2022 .01
Adorning Materials in Middles
어학연구
2020 .04
Further Empirical Evidence on the Role of Verbal Root in the Computation of Telicity
영어학
2022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