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머리말
1. 경문왕가의 등장
2. 경문왕가와 중고기 왕실
3. 성골[의식]의 재등장
4. 성골화 작업의 한계와 신라사회의 동요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Next of “King”
Localities
2016 .11
신라 진성여왕대의 재이와 농민반란
역사학연구
2016 .05
신라 성덕왕대 禁殺生 下敎의 배경과 의미
한국고대사연구
2016 .09
신라 성골연구의 현황과 과제
신라사학보
2021 .08
신라 하대 종묘와 烈祖 元聖王
역사학보
2017 .06
신라 상대 聖骨 · 眞骨 명칭과 신분의 우열
한국민족문화
2021 .11
조선의 冕服: 정치와 외교의 修辭
역사민속학
2022 .06
후삼국의 개막과 사상계의 동향
신라사학보
2021 .04
헌강왕의 유학 진흥책과 사상적 혼돈
신라사학보
2020 .04
최치원 찬술 신라 국왕 表文의 작성 시기와 배경
신라사학보
2022 .12
1898년 독립협회의 정치기획과 ‘충군애국(忠君愛國)’
역사와현실
2018 .03
『삼국유사』 <제48대 경문대왕>조 텍스트의 안과 밖
구비문학연구
2016 .01
사무엘상 8장 11-17절의 ‘왕의 권리’ : 왕의 정당한 권리를 이야기하는 글
구약논단
2017 .12
경문왕 설화와 당나귀 귀
한국민족문화
2023 .03
고구려 王系의 성립과정과 시기
한국고대사연구
2016 .09
세종실록을 통해 본왕세자(문종) 교육의 특징
역사교육논집
2019 .01
新羅末 知識人 崔致遠의 眞聖女王 認識
탐라문화
2020 .01
昌寧 觀龍寺 龍船臺 石佛坐像의 조성 배경과 檀越 세력
신라사학보
2017 .12
일성록 전최 계본(殿最啓本) 번역 방법론의 모색
민족문화
2022 .11
17세기 정의현감 김성구金聲久의 제주도 인식과 업무 수행 — 『팔오헌집八吾軒集』을 중심으로
국학연구
2023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