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서기환 (세종대학교)
저널정보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 미술문화연구 제14호
발행연도
2019.6
수록면
5 - 40 (36page)
DOI
10.18707/jacs.2019.06.14.5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상(理想)은 동양철학의 근간인 유가(儒家)에서는, 다양한 방법론을 통해 욕망을 줄이거나 없애 성인(聖人) · 군자(君子)같은 이상적 인간을 성취하는 것이었고, 불가(佛家)에서는 욕망 자체를 끊어내고 없애 정각(正覺) · 해탈(解脫) · 열반(涅槃) · 성불(成佛)에 이른 이상적 존재인 부처[佛陀]와 보살(菩薩)이 되는 것이었다. 조선후기 의고주의(擬古主義)의 부정과 자득미학(自得美學)의 출현으로 인해 대중의 현실생활과 본성[性]의 욕망을 그린 풍속화(風俗畵)는, 이전시대와 다르게 ‘현실적인 이(利)를 추구하던 인간의 욕망’이 중시되는 이상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 서양철학에서는 그리스시대에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선(善)의 이데아(Idea)’가 이상으로 제시된 후, 하위개념인 욕망이 상위개념인 이성(理性, logos)에 의해 통제되고 제어되어야 한다는 로고스 중심주의(Logocentrism) 철학이 지난 2천 년간 지속되었다. 20세기에 들어와서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이상은 ‘물질(物質)’이 되었고, 이상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욕망은 더 이상 절제하고 억압되어야하는 것이 아닌 시대가 되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일상과 대중문화 같은 현대인의 모습을 그대로 수용하고자 하는 팝 아트(Pop Art)가 등장함으로써, 서양도 새로운 이상의 변화를 맞이하였다.
이러한 풍속화와 팝 아트를 차용하여 판타지적 표현으로 창작한 연구자의 작품에 담겨있는 이상(理想)과 화의(畫意), 조형적 특성 및 표현기법 등을 분석하여, 이들 일련의 작품들이 갖고 있는 의의와 특성, 미적가치를 구명(究明)하는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가족(家族)안에서 이루어지는 삶의 단면들은 풍속화가 담고 있는 인간본성의 욕망에 투영하고 있고, 그 이상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팝(Pop)적 요소와 구성법을 차용해 모티프(motif)의 상징성을 부여하여 판타지적으로 구성표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은 연구자의 작품 전반을 꿰는 주요한 주제로서, ‘하고자 하다’, ‘바라다’ ‘기대하거나 원하다’의 욕구(欲求) 또는 욕망(欲望)을 나타내는 의미와 ‘희망’, ‘바람’, ‘유토피아(Utopia)’, ‘꿈’ 등의 의미도 함께 포괄하고 있음을 밝혀둔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근 · 현대 예술에서의 이상과 그 표현
Ⅲ. 본인의 이상에 대한 판타지적 표현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4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