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월남전 후반기(1970-1975) 귀환 서사에 담긴 ‘한국민 되기’의 (불)가능성
어문론집
2017 .06
월남문학의 유형 : ‘경계인’의 몇 가지 가능성
한국근대문학연구
2015 .04
남베트남 패망 40년, 베트남전쟁과 한국
역사비평
2015 .05
월경(越境)과 반경(半徑) : 임옥인의 <월남전후>에 대하여
한국근대문학연구
2015 .04
근대의 폭력에 대한 한국-베트남의 시적 응전
한민족문화연구
2021 .09
‘정치적 난민’의 공간 감각, 월남작가와 월경의 체험
한국근대문학연구
2015 .04
냉전-분단 체제와 월남서사의 이동 문법 - 황순원의 『카인의 후예』와 임옥인의 『월남전후』를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020 .03
개혁개방 시기 베트남의 화교정책에 대한 연구
중국학논총
2024 .09
관북 출신 월남문인의 정착과 전후 문학 장
한국근대문학연구
2015 .04
한-베 수교 이후 한국 소설에 나타난 베트남 심상지리와 전쟁-관광 연구
한국문학과 예술
2019 .12
겨울과 나는 잠시 휴전이다 외 1편
문학들
2024 .11
북한의 38선 월경 통제와 월남 월북의 양상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16 .01
월남시인과 시조시인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9 .06
The Issue of Healing War Wounds Viewed from Two Sides : Through Korean and Vietnamese Literary Works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17 .06
‘월남 패망’의 한국적 전유와 타자화된 난민의 재현-영화 〈가위 바위 보〉(1976)와 〈웨딩드레스〉(1990)를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2020 .07
피해자의 자리를 전유하기- 베트남전쟁 참전 트라우마에 대한 영화적 재현의 국적과 젠더 -
현대문학의 연구
2020 .01
월남 작가의 정체성, 그 존재태로서의 전유 : 황순원의 해방기 및 전시기 소설 일고찰
한국근대문학연구
2015 .10
1960년대 북한의 베트남전 지원과 공군・심리전 전문가 파병 ― 새로 발굴한 베트남 자료를 중심으로 ―
이화사학연구
2019 .01
오음리의 베트남전쟁
역사비평
2024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