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상고기 骨族의 성립과 聖骨 성립의 모태
Ⅲ. 중고기 骨制의 성립과 분화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신라 상대 聖骨 · 眞骨 명칭과 신분의 우열
한국민족문화
2021 .11
신라의 ‘골품제’, 그간의 논의와 약간의 전망
한국고대사연구
2017 .09
「성주사 낭혜화상탑비」의 ‘得難’과 ‘五品’ 재검토
목간과문자
2015 .12
기록을 통해 본 조선후기 骨窟石窟의 양상
강좌 미술사
2018 .01
혜공왕대 ‘始定五廟’의 정치적 의미
한국고대사연구
2023 .06
신라 성골연구의 현황과 과제
신라사학보
2021 .08
오키나와의 묘제의 변화와 현대적 수용 - 오키나와 본도를 중심으로 -
일본문화연구
2021 .04
신라 진흥왕 대 성골의 출현과 그 배경
대구사학
2021 .01
신라 진골(眞骨) 성씨의 성립과 기능 변화 : 친족 관계의 구조 및 변동과 관련하여
역사와현실
2017 .09
新羅 金志誠의 道敎思想 受容과 그 特徵
민족문화연구
2022 .11
신라 진지왕 폐위에 관한 재검토
온지논총
2018 .01
갑골문에 나타난 “눈(目)”을 字素로 하는 글자의 상징성 연구
중국문학연구
2015 .01
현행 중등 역사 교과서의 통일신라·발해 부분 서술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대구사학
2019 .01
박완서 소설에서 나타나는 ‘중(中)’의 의미 연구 - 공간 형상화를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020 .03
중국 서남부 지역 강족羌族 계통 소수민족의 용龍 신화와 제의에 관한 연구
중국어문학논집
2015 .12
韩国历史题材电影中的“女真记忆” ——原型理论视域下的满族形象研究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20 .11
중국조선족, 한국, 조선의 소학교조선어문교과서에 나타난 맞춤법교수 비교연구
중국조선어문
2020 .03
<강릉매화타령>에 나타난 욕망의 성격과 징계의 의미
어문론총
2020 .01
甲骨文에 출현하는 □, □ 두 글자에 대한 新釋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6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