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I . 머리말
II . 문제의 제기
III. 서돌궐(西突厥)의 대두(擡頭)와 당군(唐軍)의 원정(遠征)
IV. 아프라시압 궁정벽화의 고구려 사절과 돌궐인(突厥人)의 세계(世界) 인식(認識)
V.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시안(西安) 출토 도관칠국육판은합(都管七國六瓣銀盒)에 새겨진 “고리국(高麗國)”의 연대에 대한 연구
고구려발해연구
2018 .11
아프라시압 高句麗 사절에 대한 새 논란 검토 - 高句麗 사신 사행(使行) 부정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Ⅰ)
고구려발해연구
2020 .03
외국 高句麗 인물화에 나타난 닭깃털관(鷄羽冠)과 高句麗의 위상
고구려발해연구
2015 .03
Turkic Northern Tribes and Koguryo in the Early 650s: Reflection on the Circumstances of Koguryo Envoys in the Afrasiab
Journal of Northeast Asian History
2020 .12
빌개 카간 비문의 남쪽 면 제11행에 있는 두 번째 문장에 관하여
인문논총
2017 .01
비교민속 자료로서의 몽골지역에 위치한 돌궐·위구르 비문 소개
민속학연구
2020 .06
러시아-소비에트 튀르크 문학 연구의 성과와 의미
슬라브학보
2022 .03
The Digital Restoration of the Afrasiab Palatial Mural
Journal of Northeast Asian History
2020 .12
Ancient Koreans in the Afrasiab Palatial Mural in Samarkand
Journal of Northeast Asian History
2020 .12
평양 진파리 4호분의 墨書와 刻書
목간과문자
2024 .12
[작품론] 비문의 시학과 사유로 건너가기
시조시학
2021 .03
唐朝의 外國 使節 管理
동국사학
2017 .01
인도 전기 석굴사원벽화의 구조와 보존
강좌 미술사
2017 .01
문화도(kul’turnost’) 개념을 중심으로 본 스탈린체제의 일상생활
인문사회과학연구
2018 .01
4-5세기 고구려와 중국 고분벽화의 묘주 표현에 보이는 문화적 포용성에 대하여
고구려발해연구
2018 .03
昌寧 仁陽寺 碑文의 判讀과 解釋
목간과문자
2019 .06
조선후기 직지사 대웅전 벽화의 도상과 특징
석당논총
2019 .01
고구려와 북조의 조공관계 성격
한국사학보
2019 .05
최근 북한경내 고구려 벽화무덤의 발굴조사 현황과 과제
사학연구
2017 .06
고구려 진파리1호분 연구
역사와현실
2015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