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王子今 (中国人民大学国学院)
저널정보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동서인문 동서인문 제12호
발행연도
2019.10
수록면
197 - 217 (21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絮”는 紡織생산품으로 漢代 의복 측면의 소비생활 중에서 중요한 지위를 점한다. 河西漢簡에는 “絮”가 언급된 내용이 많이 확인된다. 북쪽 변방의 “고통스럽고 혹한”의 생활환경 하에서 “絮”의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러한 수요는 紡織業 상품의 운송과 교역을 촉진할 수 밖에 없었다. 漢代 商業史가 새로운 단계로 진입한 것이다. 수공업 생산기술과 관리방식의 진보도 지명을 표지로 한 지방 브랜드가 출현하도록 추동하였다. 紡織品의 유통에 대해 말하자면, 지방 브랜드로는 “阿緆”, “齊紈”, “魯縞”, “蜀錦”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河西漢簡자료에 보이는 “任城國亢父縑”, “河內廿兩帛”, “廣漢八稯布” 등은 경제사와 관련된 현상을 드러내 보였다. 地灣漢簡에 보이는 “淮布”는 아마도 이들과 유사한 織品 이름일 가능성이 크다. 居延簡文에 보이는 “絮”의 이름에는 “魯絮”, “襄絮”, “堵絮”, “彭城.絮” 등이 있다. 여기에서 “絮”, “.絮” 앞에 있는 글자는 응당 지명을 표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소위 “湖漂絮”라는 것은 응당 “湖”지역에서 생산된 일종의 “絮”이다. 考察 북쪽 변방이 “絮”를 채워 넣는 형태의 의복 생산지라는 점을 고찰한다면, 우리는 당시 서북 邊塞에서 복역하고 있는 사람들의 구체적인 생활상을 충분히 인식할 수 있다. 또한 漢代 서북 변방지역의 생태환경사, 漢代 紡織史, 漢代 河西사회생활사 및 실크로드 교역사에 대한 인식도 더욱 심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汉简资料所见纺织品地方品牌
2. “鲁絮”简文
3. “襄絮”简文
4. “堵絮”简文
5. “彭城糸絮”简文
6. “河内第十六辈丝絮”的理解
7. 关于“湖漂絮”
8. “冬寒”致意:“君厚属絮”
参考文献
中文提要
ABSTRACT

참고문헌 (6)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001-001281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