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유진 (강원대학교) 황선환 (서울시립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제43권 제4호(통권 제85호)
발행연도
2019.12
수록면
47 - 57 (11page)
DOI
10.26446/kjlrp.2019.12.43.4.47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In the current study, we analyzed how leisure time of adolescents, which helps them to live a healthy life, affects their happiness. The raw data of ‘KCYPS 2018’ presen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re used for the study. Employed statistics wer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k-means cluster analysis, and t-test using SPSS 24.0 version. The leisure time of adolesc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and exercise time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ime and happiness. In particular, in the high leisure time group, exercise time had a stronger effect on happiness. What influences happiness is not how much leisure time they have, but how much exercise they do in a given leisure time.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adolescents with the desired direction of leisure and life, leisure education on the nature of leisure and how to utilize the leisure time is necessary.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3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069-000281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