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정은 (조선대학교) 이재준 (조선대학교) 맹다솜 (한경대학교) 이현주 (한경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제31권 제1호
발행연도
2020.2
수록면
25 - 36 (12page)
DOI
10.7856/kjcls.2020.31.1.25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prepared using different amounts of ripe Daebong persimmon powder (DPP), in ratios of 0, 1.5, 3, 4.5, and 6% of the white bean paste. The proximate composition, pH, brix value, sensory evaluation, Hunter’s color values, sensory properties, texture,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Yanggaeng were examined. Increasing the amount of DPP in the Yanggaeng tended to increase the ash and lipid contents, brix value, and the DPPH and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ith decreasing contents of water and crude protein. Increasing the amount of DPP in the Yanggaeng also resulted in decreased lightness (L) in the Hunter’s color, and increased redness (a) and yellowness (b). The addition of DPP showed decreased springiness, chewiness and hardness, when evaluated for texture characteristics. Sensory evaluation revealed excellent scores in color, flavor, sweetness, moistness, chewiness, and overall preference with Yanggaeng supplemented with 3% DPP. Based on these results, we recommend that 3% is the optimum amount of DPP that needs to be added for preparing Yanggaeng.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요약 및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48)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590-0004200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