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머리말 : 1988년 여름, “버마” 속의 광주
2. ‘미디어 경관’ 속에 나타난 ‘8888 민중항쟁’
3. 1988년 버마의 은유-광주에서 북한까지
4. 맺음말 : 무엇을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내 소원은 미얀마의 평화와 안정이다
인문과 예술
2021 .01
민주화의 기억과 아시아 연대
민족문학사연구
2021 .08
한국과 미얀마의 유아교육과정의 구성체계, 목적 및 내용에 대한 비교
유라시아연구
2023 .03
신남방 국가의 학습자 변인과 한국어 교육 -미얀마, 인도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2021 .12
미얀마 서부지역 무슬림 집단의 형성과 그 갈등의 배경
건지인문학
2018 .01
미얀마 군부 지배의 역사적 고찰 - 그 정치 동력의 구조
역사비평
2021 .08
미얀마인 학습자의 한국어 읽기 불안과 학습 불안 연구
언어사실과 관점
2019 .01
한국어와 미얀마어 ‘손’관련 관용표현에 대한 비교 연구 -개념적 은유 이론을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2021 .01
[미얀마] 쿠데타에 대항하는 미얀마 시민들
창비어린이
2021 .06
버마 민주화 운동가의 난민 살이와 귀환 : NLD-LA 한국 지부를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
2017 .07
미얀마 쿠데타에 맞선 항쟁은 과거와 무엇이 다르며, 어떤 국제연대가 필요한가?
문화과학
2021 .06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합성명사 대조 연구 -외래어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2019 .01
목요윤독회, 미얀마를 가다!
대구사학
2018 .01
동시대 미얀마 봉기에 어떻게 연루될 것인가? −제국주의 관점에서 본 미얀마−
현대사상
2023 .02
1979~1980, 부마와 광주민중항쟁의 문학 담론
인문학연구
2021 .08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와 미얀마어 자음 대조 연구
우리어문연구
2015 .01
10월 항쟁의 문학적 형상화 연구
우리말글
2021 .06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종성 발음 대조 연구
언어과학연구
2020 .03
‘마주침’에 대하여-6월항쟁의 소설적 재현
민족문학사연구
2016 .01
광주항쟁과 초국적 후원 네트워크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20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