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머리말
2. 미얀마 군부의 등장과 정치적 진출
3. 군부 정치권력의 공고화: 실패한 버마식 사회주의
4. 군부의 재편과 지배방식의 변형
5. 맺음말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군부 권위주의로 회귀하는 미얀마 - 민간-군부관계로 본 쿠데타의 역동성 -
역사교육
2022 .03
군사통번역의 특성과 군통번역사의 자질
통역과 번역
2024 .04
On the Applications of Computer-Assisted Language Learning in a Military English Context
영어영문학
2017 .05
군대에 묶인 대학생의 몸 — 1969~1971년 대학 교련과 교련 반대운동 —
사림
2024 .01
고려후기 무관층의 구성과 기능 분석 : 『고려사』열전 등재 인물을 중심으로
역사와실학
2015 .04
1988년 “버마”로 1980년 광주를 기억하기 : 한국 신문의 미얀마 민중항쟁 보도를 중심으로
서강인문논총
2020 .04
한국군(軍)의 통역자원 운용에 관한 연구: 미국과 독일 사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번역학연구
2022 .10
미얀마 서부지역 무슬림 집단의 형성과 그 갈등의 배경
건지인문학
2018 .01
수기치인의 관점에서 본 간재 전우의 ‘혈구지도(?矩之道)’ 주석 분석
한국철학논집
2021 .11
일본군위안소에서 대만군 ‘特約茶室’로
중국어문학논집
2019 .10
고려시대 閱兵의 시행과 그 의미
군사연구
2020 .01
구술로 본 한국군 창설과 변화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22 .03
군선교에 관한 제반 이해와‘ Vision 2020’ 에 관한 신학적 재고
개혁논총
2015 .01
군사 한국어 교재의 구성 원리와 실제 -국방어학원 『외국군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을 중심으로-
한글
2020 .12
1963년 박정희 군사정부의 민정이양 과정과 미국의 개입
역사학보
2022 .12
From Enviable Other to One of Us?: Class, Militarized Masculinity and Citizenship among Korean Study Abroad Men
Korea Journal
2022 .09
미얀마인 학습자의 한국어 읽기 불안과 학습 불안 연구
언어사실과 관점
2019 .01
한국의 군사통역 현황과 장래 교육 방향 연구
통번역학연구
2015 .01
전후 독일 재건의 군사(軍史)적 고찰: 7월 20일 군부저항과 연방군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
2024 .02
페루 군부정권의 정치개혁 : 1968-1980
스페인어문학
2023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