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Role of Amino Acids in Production of D-amino Acid Oxidase
The Journal of Microbiology
2001 .09
고수의 향미성분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001 .01
김치 발효 숙성 중의 γ-aminobutyric acid (GABA) 및 아미노산 함량의 변화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013 .01
알타리무우김치 숙성과정중 유리아미노산의 변화
대한가정학회지
1985 .01
생.건 참서대의 조리방법별 지방산과 유리아미노산 함량변화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1998 .01
대구알젓의 맛성분 제I보 : 대구알젓의 유리아미노산
대한가정학회지
1982 .01
개구리 망막체와 수정체의 Amino 산 성분에 관한 연구
동물학회지
1959 .01
가열과 비가열 처리를 통한 액젓의 이화학적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2013 .02
Analysis of structural amino acid contents in chicken undergoing different cooking methods using automated amino acid analyzer
한국분석과학회 학술대회
2019 .11
생양태와 염건양태의 조리과정 중 지방산과 유리아미노산의 변화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1998 .01
한국산 잠자리목 13종의 아미노산 조성
한국곤충학회지
1997 .01
한국산 도롱뇽(Hynobius Leechi BOULENGER 의 초기발생단계에 있어서의 유리 아미노산의 정성분석
동물학회지
1961 .01
Free Amino Acids in Gut Contents
한국영양학회지
1968 .03
배의 성숙 중 유리당과 유리아미노산 함량 변화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1998 .01
Chemical Composition of Saururaceae Growing in Korea (3) On Fatty acids and Amino acids of Houttuynia cordata and saururus chinensis
분석과학
1989 .12
Mechanisms of amino acid sensing in mTOR signaling pathway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2009 .03
Mechanisms of amino acid sensing in mTOR signaling pathway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2009 .03
다소비 채소 및 과일의 식이섬유와 아미노산 조성 비교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014 .01
Metabolomic analysis of amino acids, fatty acids and organic acids in plasma of asthma mouse model by GC-MS
한국분석과학회 학술대회
2019 .11
보리새우육 엑스분의 추출조건과 그 유리아미노산 조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199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