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I. 머리말
II. 短籍과 食口案
III. 下道主와 목간
IV. 정창원의 雜札
V. 제첨축
VI.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国際共修を目的とした地域文化体験型授業の構築 : インタビュー活動を通した地域住民との交流を主軸として
한국일본어학회 학술발표회
2019 .03
五山禪僧의 對中國 집단학습활동을 통한 관련 지식 축적 및 인식 전파에 관한 연구(2) ?글과 그림으로 지척에 있는 중국
중국문학
2021 .01
무라타 사야카(村田沙耶香)와 김애란 문학의 비체(abject)성? 『편의점 인간』과 『비행운-하루의 축』을 중심으로 ?
일어일문학연구
2021 .01
謹齋 安軸(1282~1348)의 關東 체험 고찰 — 稼亭 李穀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온지논총
2021 .10
1930年代初期の大衆娯楽雑誌における女性像 - 「モダン」系雑誌と「ロマンティック․ラブ․イデオロギー」を軸に -
일본어문학
2016 .01
朝鮮 後期 御覽用 功臣會盟軸의 제작과 書寫官
장서각
2023 .10
일본 五山의 山水圖(書齋圖) 詩畵軸의 題詩文에 관한 일 고찰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2015 .01
근재 안축의 시문에 나타난 公的 풍경 구성 방식
漢文古典硏究
2021 .12
「청량산방시회축(淸凉山房詩會軸)」의 사료적 가치와 유불(儒佛) 교유
아시아 도자문화 연구
2020 .12
詩軸을 爲한 <夢遊桃源圖>
대동문화연구
2021 .01
자위대의 연화(軟化) 지향과 제국 일본과의 연속성 - 자위대 내부의 성폭행 문제를 축(軸)으로 -
일본연구
2023 .03
보한재 신숙주의 문예사상과 서예
漢文古典硏究
2017 .01
후쿠자와 유키치의 ‘건강’을 읽는다 : 메이지 일본의 정치사상과 신체관
일어일문학연구
2017 .01
한반도 발견 목간의 형태 용어 검토
목간과문자
2022 .12
安軸의 「關東別曲」과 宋詞의 비교연구를 통한 景幾體歌의 形成過程 연구
漢文古典硏究
2015 .01
조선전기 한글서예 中心軸의 美學的 고찰
한국사상과 문화
2016 .01
일본사상사에서의 ‘대상’과 ‘방법’의 문제: 비교와 논의를 위한 소묘
한국사상사학
2016 .01
14세기 일본의 중국회화 수용: 신안선 출수 ‘축(軸)’에 대한 이해를 위한 소고
아시아 도자문화 연구
2021 .12
청동기시대 군집묘의 양상과 그 의미
영남고고학
2024 .09
1918-1927 湖南의 物價변동
중국사연구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