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정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김원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저널정보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大韓建築學會論文集 第39卷 第9號(通卷 第419號)
발행연도
2023.9
수록면
137 - 148 (12page)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was aimed at discovering the inherent meaning of architectural language for a building, expressed through metaphysical and abstract language, using content analysis and phenomenological method. Specifically,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early architectural works of Kim, Swoo-Geun, particularly the Office "Space", to understand the spatial interpretation methods of architects during colonial modernization theory and the international modernist style. The forms,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each space in the Office "Space" were classified and organized, and a comparative study with Korean, Chinese, and Japanese architecture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meaning of hidden Korean spatial characteristics. Although this study did not find a correlation between the Office "Space" and traditional Korean spatial characteristics, it identified the profound architectural language of a Korean architect and the unique Eastern residential styles. Furthermore, it appeared that Kim’s design work was needed to differentiate the value of the space language, and to endow specific mean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door spatial configuration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목차

Abstract
1. 서론
2. 현상학적 분석을 통한 공간의 이해
3, 공간 사옥과 한 · 중 · 일의 공간
4.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29)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