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문기홍 (부경대학교 글로벌지역학연구소) 박하영 (부경대학교)
저널정보
아시아문화학술원 인문사회 21 인문사회 21 제14권 제2호
발행연도
2023.4
수록면
1,417 - 1,430 (1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미얀마 쿠데타에 관한 한국 언론보도와 담론 분석문 기 홍**ㆍ박 하 영***연구 목적: 이 연구는 2021년 2월 일어난 미얀마 쿠데타에 관한 한국 언론보도와 이를 통해 어떤 담론이 형성되었는지 분석하는 데 있다.연구 방법: 연구방법은 빅카인즈 시스템을 활용해 언론사의 뉴스를 수집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주요 키워드 분석, 연관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미얀마 관련 보도의 전반적인 경향 및 쿠데타 이후 담론 파악을 실시하였다.연구 내용: 이 논문의 연구 내용은 전반적인 미얀마에 대한 언론보도는 시점에 따라 조금 다른 양상을 보인다. 아웅산 수지 및 민주 정부 구성은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언론의 주요 관심사였고, 로힝자족 탄압과 같은 주요 정치・사회적 사건에 보도가 집중되었다. 이후 미얀마와의 경제협력, 교류, 개발과 관련된 보도가 주요 키워드로 도출되었다. 이 분석을 통해 한국이 가진 지난 민주화 운동에 관한 기억과 경험은 미얀마 사태에 한국 언론과 사람들의 많은 관심과 이목을 집중시켰다고 할 수 있다.결론 및 제언: 연구 결과, 미얀마 내 쿠데타 상황은 특히 지난 한국의 광주민주화운동을 떠올리게 했고, 광주민주화운동의 기억을 통해 미얀마 시민들의 민주주의를 되찾기 위한 노력에 공감하게 된 것이라 할 수 있다.핵심어: 미얀마, 쿠데타, 언론보도, 담론분석, 빅카인즈□ 접수일: 2023년 3월 11일, 수정일: 2023년 3월 26일, 게재확정일: 2023년 4월 20일* 이 논문은 2020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0S1A5CA02093112).** 주저자, 부경대학교 글로벌지역학연구소 전임연구원(First Author, Researcher, Pukyong National Univ., Email: kihong.mun@pknu.ac.kr)*** 교신저자, 부경대학교 글로벌지역학과 박사수료(Corresponding Author, Completion of Doctoral Course, Pukyong National Univ., Email: hayeong20@gmail.com)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