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비정상적, 강제적 폭력으로 성적 자기결정권을 침해하는 성폭력에 대해 주목하여,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다른 텍스트, 노년 여성 피해자, 폭력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본고에서 슬라보예 지젝의 세 가지 폭력 방식인 ‘주관적 폭력, 상징적 폭력, 구조적 폭력’이라는 방법론을 바탕으로, 연구 대상인 영화 <69세>에서 나타나는 ‘노년 여성 성폭력 영화에 나타나는 폭력의 재현’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69세>는 주관적 폭력을 통해 육체적 폭력과 존엄성의 훼손을 드러내며, 강압적 폭력에 의한 지배・착취, 폭력적 경험으로 인한 고통을 간접적 암시를 통한 거리두기, 관찰자적 시선으로 표현한다. 둘째, <69세>는 상징적 폭력을 통해 언어적 폭력과 성 위계체제의 메커니즘을 드러내며, 무의식적 언어 습관의 폭력과 이데올로기적 조작, 무성적 존재의 사회적 편견과 남성 중심 사회의 차별을 나타낸다. 셋째, <69세>는 구조적 폭력을 통해 공권력의 가해/피해 전도와 법체계의 개연성 폭력을 드러내고, 공권력・법체계의 비가시적 폭력, 남성 중심적 시선, 권력관계와 위력행사에 의한 오인된 죄책감을 나타낸다.
본고는 주관적, 상징적, 구조적 폭력을 통해 노년 여성 성폭행 영화 재현에서 드러나는 폭력의 다층성을 분석하였고, 가시적・언어적・체계적 폭력에 내재하는 정상성/비정상성을 고찰하였다. 이 영화는 현실의 죽음과 영화의 삶을 대비시켜 여주인공의 의지를 강조하고, 개연성의 문제, 존엄성의 훼손, 성인지 감수성의 결핍을 통해 남성 중심 사회의 편견을 비판한다. <69세>는 객관적 거리두기를 통해 노년 여성 피해자의 고통에 대해 성찰하며, 포기, 일탈, 인식, 저항으로 변하는 여성의 주체성을 그려내며, 가장 끔찍한 성폭력인 성폭행의 주관적・상징적・구조적 폭력을 드러낸다.
This paper focuses on sexual violence that violates the right to sexual self-determination with abnormal and forced sexual violence, and discusses other texts not covered in the previous study, elderly female victims, and violence. Based on Slavoj Zizek’s methodology about three types of violence, namely subjective violence, symbolic violence, and systemic violence, the results of examining ‘representation of violence in elderly woman sexual violence film’ in the film An Old Lady are as follows.
First, An Old Lady reveals physical violence and damage of dignity through subjective violence, and describes domination and exploitation by coercive violence, pain from violent experiences as distancing through indirect implications, the observer’s gaze. Second, An Old Lady reveals verbal violence and the mechanism of the gender hierarchy through symbolic violence, and shows violence of unconscious language habits and ideological manipulation, social prejudice of asexuality and male-centered social discrimination. Third, An Old Lady reveals reverse of harm/damage in public authority and the violence of probability in the legal system through systemic violence, and shows the invisible violence of public power and the legal system, male-centered gaze, and the misconceived guilt by power relations and exercise of power.
Through subjective, symbolic and systemic violence, this paper investigated the multilayered nature of violence embodied in the film representation of sexual violence in elderly women, and examined the normality/abnormality inherent in visible, verbal, and systematic violence. The film emphasizes the heroine’s will by contrasting death in reality with life in film, and criticizes male-centered social prejudice through probability issues, damage to dignity, and lack of gender sensitivity. An Old Lady reflects on the pain of elderly female victims through objective distancing, depicts the subjectivity of woman who turn into giving up, deviance, perception, and resistance, and reveals the subjective, symbolic, and systemic violence of sexual assault, which is the 'most terrible sexual viol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