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4
I.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문제 33. 연구의 제한점 3Ⅱ. 이론적 배경 41. 모바일 기반 SNS를 활용한 영어 쓰기 교육 4가. 모바일 학습의 정의 4나. 모바일 언어학습의 특성 5다. SNS의 특징 62. 영어 쓰기 학습 7가. 영어 쓰기 학습의 특성 7나. 영어 쓰기 지도 시 유의 사항 9다. 과정 중심 영어 쓰기 접근법 103. 피드백 13가. 피드백의 개념 및 교육적 효과 13나. 피드백의 유형 144. 선행 연구 분석 22가. 웹기반 영어쓰기 학습 22나. 모바일 기반 영어쓰기 학습 24Ⅲ. 연구 방법 271. 연구 대상 272. 연구 기간 및 절차 283. 연구 설계 304. 자료 수집 방법 및 분석 방법 31가. 기초 실태 조사 설문지 33나. 정의적 영역 검사지 37다. 영어 쓰기 능력 평가 38라. 학습일지, 학습 결과물 및 심층 인터뷰 40마. 교수일지 및 수업 장면 전사 자료 40Ⅳ. 연구 내용 421. 모바일 기반 SNS 활용 과정 중심 쓰기 활동 설계 42가. 영어 교과서 분석 42나. 쓰기 주제 선정 442. 수업 모형 및 교수?학습 활동 46가. 쓰기 전 활동 48나. 초안 쓰기 49다. 다시 쓰기 49라. 최종본 쓰기 513. 교수?학습 지도안 작성 53Ⅴ. 연구 결과 561. 영어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56가. 사전?사후 쓰기 평가 결과 56나. 수준별 사전?사후 쓰기 평가 결과 57다. 수준별 사전?사후 쓰기 평가 결과물 592.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72가. 흥미도 검사 결과 72나. 참여도 검사 결과 75다. 자신감 검사 결과 77라. 불안감 검사 결과 803. SNS 활용한 과정 중심 쓰기 학습 결과물 분석 82가. 영어 쓰기 유창성 변화 분석 82나. 피드백 주고받기의 양상 분석 864. 모바일 SNS를 활용한 과정중심 쓰기 수업 시 고려할 사항 105가. 동료 피드백 지침의 필요성 106나. SNS를 통한 피드백 제공시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 107다. 그림이나 사진, 동영상 등의 비언어자료의 중요성 109Ⅵ. 결론 및 제언 1121. 결론 1122. 제언 114참 고 문 헌 116부 록 120ABSTRACT 14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