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이지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박미정
발행연도
2017
저작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0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20대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중심부 근용 멀티포컬 소프트콘택트렌즈 (이하 멀티포컬 렌즈)와 중심부 원용 멀티포컬 렌즈와 같이 원용 및 근용의 위치가 서로 다른 멀티포컬 렌즈 디자인 차이에 따른 20대의 조절기능 변화를 단초점 렌즈 착용시와 비교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최대 단안 교정시력이 0.8 이상, 양안 교정시력이 1.0 이상이며 안과 관련 수술 경험이 없고 평소 안질환이 없는 20 세에서 24 세 (평균 22.62 ± 2.31세)의 총 20 명 40 안을 연구대상자로 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자가 단초점 렌즈, 중심부 원용 멀티포컬 렌즈, 중심부 근용 멀티포컬 렌즈에 해당하는 3가지 종류의 렌즈를 다른 날 각기 독립적으로 착용하게 한 후 조절 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콘택트렌즈를 개봉하여 착용한 후 15분 동안 눈물 막을 안정화 시킨 후 대상자의 시력(visual acuity), 조절래그(accommodative lag), 조절근점(amplitude of accommodation), 양성상대조절력(positive relative accommodation, PRA), 음성상대조절력(negative relative accommodation, NRA), 조절용이성(accommodative facility), 사위도(phoria)를 측정하였으며 시력만족도 및 피로도를 설문조사 하였다.
중심부 원용 멀티포컬 렌즈와 중심부 근용 멀티포컬 렌즈 모두 단초점 렌즈를 착용했을 때 보다 조절래그가 감소하고 조절리드가 유도되는 경향을 보였다. 단초점 렌즈, 중심부 원용 렌즈, 중심부 근용 렌즈 순으로 조절리드가 발생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였다. 조절근점 역시 단초점 렌즈보다는 중심부 원용 렌즈에서, 중심부 원용렌즈 보다는 중심부 근용 렌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지만 조절근점이 더 짧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조절리드가 크게 유도되어 조절근점이 가장 짧아진 중심부 근용 렌즈는 단초점 렌즈와 비교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개인별 분석에서는 멀티포컬 렌즈의 중심부 디자인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어 다른 조절 기능에 비해 중심부 디자인에 따른 영향을 적게 받음을 알 수 있었다. 양성상대조절은 단초점 렌즈 보다 중심부 원용 렌즈 착용 시 증가하였고, 중심부 원용 보다는 중심부 근용 렌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조절리드가 단초점 렌즈, 중심부 원용렌즈, 중심부 근용 렌즈 순으로 점점 크게 유발된 것처럼 양성상대조절 역시 단초점 렌즈, 중심부 원용, 중심부 근용 렌즈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양성상대조절의 개인별 증가폭이 중심부 원용 렌즈 보다 중심부 근용 렌즈를 착용 했을 때 더 크게 나타나는 피검자가 많았다. 조절근점이 짧아지고 양성상대조절이 증가하는 경향으로 미루어 볼 때 조절부족안의 경우 단초점 렌즈 보다 멀티포컬 렌즈의 사용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양성상대조절이 단초점 렌즈, 중심부 원용 렌즈, 중심부 근용 렌즈 순으로 증가한 것과는 달리 음성상대조절은 단초점 렌즈, 중심부 원용 렌즈, 중심부 근용 렌즈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는 평소 음성상대조절력이 낮은 경향이 있는 조절과다안에 멀티포컬 렌즈를 처방하는 것을 지양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조절용이성의 경우도 단초점 렌즈, 중심부 원용 렌즈, 중심부 근용 렌즈 순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개인별 분석에 있어 조절용이성과 음성상대조절의 경우 중심부 원용 렌즈보다 중심부 근용 렌즈에서 개인별 감소폭이 큼을 알 수 있었다. 사위도의 경우 단초점 렌즈, 중심부 원용 렌즈, 중심부 근용 렌즈 순으로 외사위도의 경향을 나타냈고 개인별 분석에 있어 중심부 원용 렌즈보다 중심부 근용 렌즈를 착용 했을 때 외사위도 증가폭이 더 크게 나타나는 피검자가 더 많았다. 따라서 근거리 외사위도가 심한 사람이 멀티포컬 렌즈를 착용할 경우에는 근거리 외사위도가 더 심해져 시력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으므로 처방에 유의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원, 근거리 시력의 경우 단초점 렌즈, 중심부 원용 렌즈, 중심부 근용 렌즈 순으로 좋게 측정되었고 중심부 근용 렌즈에서 원, 근거리 시력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측정되었다. 원, 근거리 시력 만족도 또한 중심부 근용 렌즈 착용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렌즈 디자인에 따른 원거리 시력 만족도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 하였으나 근거리 시력 만족도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원, 근거리 시력의 경우 중심부 근용에서 중심부 원용에 비해 개인별 시력 감소폭이 컸다. 이에 비례하여 원거리 시력 만족도 역시 근용 렌즈에서 만족도의 감소폭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근거리 시력 만족도는 원용과 근용 렌즈 간의 개인별 변화폭이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원, 근거리 시력과 그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난 중심부 근용 렌즈의 경우 피로도 또한 원, 근거리 모두에서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중심부 근용과 원용의 피로도 차이에 있어서 원거리 피로도의 경우 근거리 피로도 보다 개인별 피로도 증가폭이 큼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20대의 한국인이 멀티포컬 소프트 렌즈를 착용하였을 때 중심부 근용 및 원용 디자인에서 모두 조절리드가 유도되어 조절래그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므로 근시억제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멀티포컬 렌즈의 처방은 노안 뿐 아니라 근거리 주시 시 조절력이 부족하여 불편함을 겪고 있는 젊은 연령대의 조절부족안 에게 적용 해 볼 수 있음을 시사하며 상대적으로 높은 시력 만족도를 보이는 중심부 원용 렌즈의 처방이 임상에서의 접목이 수월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중심부 원용 렌즈에서 조절래그가 증가 할 수 있다는 서양인 대상의 선행연구와는 달랐으므로 멀티포컬 렌즈의 적용이 서양인과 한국인에게서 달라야 함을 시사한다.

목차

I. 서 론 1
II. 이론적 배경 4
1. 멀티포컬 소프트 콘택트렌즈 4
2. 콘택트렌즈를 이용한 근시억제 방법과 원리 6
3. 아시아인과 서양인 안구의 해부학적 차이 10
III. 연구대상 및 방법 11
1. 연구대상 11
2. 연구재료 11
2-1. 콘택트렌즈 디자인 11
2-2. 콘택트렌즈 착용방법 및 피팅상태 확인 13
3. 연구방법 13
3-1. 시력검사 13
3-2. Nott 동적검영법을 이용한 조절래그 검사 13
3-3. 양성상대조절력 검사 14
3-4. 음성상대조절력 검사 14
3-5. 조절근점 검사 14
3-6. 조절용이성 검사 14
3-7. 사위도 검사 15
3-8. 시력에 대한 만족도 및 피로도 관련 설문조사 15
3-9. 통계처리 15
IV. 결 과 16
1. 시력 비교 16
2. 조절래그 비교 20
3. 양성상대조절력 비교 22
4. 음성상대조절력 비교 24
5. 조절근점 비교 26
6. 양안 조절용이성 비교 28
7. 근거리 사위도 비교 30
8. 시력에 대한 설문결과 비교 32
9. 피로도에 대한 설문결과 비교 35
V. 고 찰 38
1. 콘택트렌즈 처방 38
2. 조절래그 (원시성 비초점)와 근시억제 38
3. 조절근점과 양성상대조절력 43
4. 음성상대조절력과 조절용이성 44
5. 사위도와 안정피로도 46
6. 시력과 시력 만족도 48
VI. 결 론 50
참고문헌 53
Abstract 60
감사의 글 63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