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안수진 (한국교원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김지혜
발행연도
2019
저작권
한국교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3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영어 재귀사의 통사적 결속 조건과 화용적 결속 조건과 관련하여 한국인 대학생 학습자들의 영어 재귀사 해석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재귀사의 선행사는 해당 재귀사가 포함된 시제문 안에 위치해야 하며 서로 성분통어 관계에 있어야 한다는 영어의 통사적 결속 조건과 관련하여, 학습자들이 영어의 결속영역 제약 조건과 성분통어 제약조건에 부합하는 명사를 재귀사의 선행사로 선택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재귀사와 선행사가 서로 다른 시제문 안에 위치할 경우 선행사가 지닌 인식자 조건에 따라 면제적 결속이 가능한 정도가 달라진다는 영어의 화용적 결속 조건과 관련하여, 인식자 조건이나 문맥 정보가 학습자들의 재귀사 해석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집단으로 67명의 대학생과 비교집단으로 12명의 영어 화자를 대상으로 선행사 판단 및 선행사 수용성 판단 과제와 이야기를 통한 진리값 판단 과제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의 통사적 결속 조건과 관련하여 학습자와 영어 화자의 재귀사 해석 양상을 비교한 결과, 학습자들은 영어 화자들에 비해 영어의 결속영역과 성분통어 제약 조건을 위반하는 명사를 해당 재귀사의 선행사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학습자들을 영어 능숙도에 따라 세 집단으로 나누어 각 집단의 응답을 비교한 결과, 상위와 중위 학습자에 비하여 하위 학습자 집단에서 영어의 결속 조건을 위반하는 명사를 선행사로 해석하는 비율이 높았다. 둘째, 학습자들의 응답 중 영어의 결속 조건을 위반한 명사를 선행사로 파악하는 오류는 성분통어 제약조건보다 결속영역 제약조건과 관련한 문항에서 많이 나타났다. 그러나 성분통어 제약조건과 관련하여, 주어 명사구가 무정 명사인 문장에서는 하위 학습자뿐 아니라 상위와 중위 학습자들 대부분이 비성분통어 명사를 해당 재귀사의 선행사로 해석하는 오류를 보였다. 셋째, 영어의 화용적 결속 조건과 관련하여 중위와 상위 학습자들은 문맥 정보와 상관없이 영어의 통사적 결속 조건을 준수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하위 학습자들은 영어의 결속 조건보다는 문맥에 의존하여 재귀사의 선행사를 해석하는 경향이 있었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한국인 학습자들은 영어 재귀사 해석에 있어 인식자 조건에 따라 장거리 결속을 허용하는 정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상위와 중위 학습자들은 대체로 영어의 결속 조건을 준수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하위 학습자들은 실험 문장의 유형에 따라 영어의 결속 조건을 위반하는 명사를 선행사를 파악하는 오류를 보이기도 하였다. 특히 본 연구의 실험에서 사용한 sub-commanding 편향 문장은 비문법적인 문장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비성분통어 명사를 해당 재귀사의 선행사로 해석하는 오류를 보였다. 이를 통해 보았을 때, 본 연구는 기존에 많이 연구되어 오던 결속영역 제약조건뿐 아니라 성분통어 제약조건과 관련하여 학습자들이 영어 재귀사를 해석할 때 빈번한 오류를 보이는 부분을 밝히어, 영어 재귀사와 관련한 학습자 지식에 대한 근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목차

I.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6
2.1 영어와 한국어 재귀대명사의 결속 이론 6
2.1.1 영어 재귀대명사의 통사적 결속 조건 6
2.1.2 한국어 재귀대명사의 통사적 결속 조건 10
2.1.3 영어와 한국어 재귀대명사의 화용적 결속 조건 14
2.2 제2언어로의 영어 재귀사 해석 양상 연구 20
2.2.1 제2언어로의 영어 재귀사 해석 양상 연구 20
2.2.2 한국인 학습자들의 영어 재귀사 해석 양상 연구 25
2.2.2.1 한국인 학습자들의 영어 재귀사 해석 양상 연구: 통사적 결속 조건 25
2.2.2.2 한국인 학습자들의 영어 재귀사 해석 양상 연구: 화용적 결속 조건 30
2.3 연구 문제 및 가설 32
Ⅲ. 연구 방법 35
3.1 연구 참여자 35
3.2 연구 도구 37
3.2.1 연구에서 사용되는 문장 유형 39
3.2.2 선행사 판단 및 선행사 수용성 판단 과제 45
3.2.3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진리값 판단 과제 50
3.2.4 설문지 53
3.3 실험 절차 53
Ⅳ. 연구 결과 55
4.1 선행사 판단 및 선행사 수용성 판단 과제 결과 분석 55
4.1.1 한국인 학습자들의 결속영역 제약 조건과 관련한 영어 재귀사 해석 양상 56
4.1.1.1 결속 영역 중립 문장에서의 영어 재귀사 해석 양상 56
4.1.1.2 장거리 결속 편향 문장에서의 영어 재귀사 해석 양상 63
4.1.1.3 단거리 결속 편향 문장에서의 영어 재귀사 해석 양상 67
4.1.2 한국인 학습자들의 성분통어 제약 조건과 관련한 영어 재귀사 해석 양상 69
4.1.2.1 성분통어 중립 문장에서의 영어 재귀사 해석 양상 70
4.1.2.2 성분통어 명사 편향 문장에서의 영어 재귀사 해석 양상 75
4.1.2.3 sub-commanding 유정 명사 편향 문장에서의 영어 재귀사 해석 양상 78
4.1.2.4 sub-commanding 무정 명사 편향 문장에서의 영어 재귀사 해석 양상 81
4.1.3 한국인 학습자들의 인식자 조건에 따른 재귀사 해석 양상 86
4.2 이야기를 통한 진리값 판단 과제 결과 분석 88
4.2.1 이야기를 통한 진리값 판단 과제 결과: 결속영역 제약 조건 89
4.2.1.1 단거리 결속 편향 지문에서의 영어 재귀사 해석 양상 90
4.2.1.2 장거리 결속 편향 지문에서의 영어 재귀사 해석 양상 92
4.2.2 이야기를 통한 진리값 판단 과제 결과: 성분통어 제약 조건 97
4.2.2.1 성분통어 명사 편향 지문에서의 영어 재귀사 해석 양상 98
4.2.2.1 비성분통어 명사 편향 지문에서의 영어 재귀사 해석 양상 100
Ⅴ. 논의 106
5.1 영어의 통사적 결속 조건과 관련한 영어 재귀사 해석 양상 108
5.1.1 결속영역 제약조건과 관련한 영어 재귀사 해석 양상 109
5.1.2 성분통어 제약조건과 관련한 영어 재귀사 해석 양상 112
5.2 영어의 화용적 결속 조건과 관련한 영어 재귀사 해석 양상 115
5.2.1 문맥정보에 따른 영어 재귀사 해석 양상 116
5.2.2 인식자 조건에 따른 영어 재귀사 해석 양상 118
5.3 영어 능숙도에 따른 영어 재귀사 해석 양상 120
5.3.1 영어 능숙도에 따른 재귀사 해석 양상: 결속영역 제약 조건 120
5.3.2 영어 능숙도에 따른 재귀사 해석 양상: 성분통어 제약 조건 126
Ⅵ. 결론 및 제언 132
참고 문헌 136
Abstract 140
부록 143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