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진루 (경희대학교, 경희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김영주
발행연도
2023
저작권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8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7)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중국인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들이 생산한 구어 텍스트를 대상으로 숙달도에 따른 응결성 및 응집성 실현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응결성과 응집성은 텍스트다움의 지배적 요소로 학습자의 담화적 능력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그간 한국어 교육에서 중국인 학습자의 텍스트 응결성 및 응집성 연구들은 주로 문어 텍스트에만 한정되어 있었다. 구어 텍스트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면서 응결 장치를 통해 구어 응결성 특성을 설명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중국인 학습자가 실제로 생산한 구어 자료에 집중하여 숙달도에 따른 응결성 및 응집성 실현에 대한 전면적이고 구체적인 비교·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가 생산한 구어 텍스트를 대상으로 응결 장치 사용과 의미 구조 양상은 숙달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또한 모어 화자의 사용 양상과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TOPIK 3, 4, 5, 6급을 취득한 중국인 학습자 각각 20명, 한국어 모어 화자 20명, 총 100명을 실험 참여자에 포함하였다. 실험 참여자에게 제보적 텍스트, 설득적 텍스트의 자유 말하기 과제 각각 두 개,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과 ‘최근에 하고 있는 여가 활동’, ‘성형수술에 대한 의견’과 ‘친구 설득’ 총 네 개를 실행하여 집단별로 각각 80개, 총 400개의 구어 텍스트를 수집하였다. 구어 텍스트를 구어 전사 방법을 이용하여 전사하고 본고에서 설정한 분석 기준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일차적으로 각 집단에서 구어 텍스트의 대용 응결 장치, 접속 응결 장치 유형 빈도와 사용 빈도, 그리고 오류율을 계량하였으며 평균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SPSS 22.0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으로 얻어진 결과를 통하여 숙달도에 따른 중국인 학습자의 응결 장치 사용 양상을 파악하고 한국어 모어 화자의 사용 양상과 다르게 나타나는 특징을 찾아내었다.
이차적으로 텍스트의 의미 구조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중국인 학습자 각 집단과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의 의미 관계 사용 비중, 의미 관계 다양성, 그리고 의미 구조 깊이를 SPSS 22.0 ‘일원분산분석’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나아가 중국인 학습자의 구어 텍스트 응집성을 저해시키는 특징들을 찾아내었다.
첫 번째 연구 문제는 대용 응결 장치의 사용 양상은 숙달도가 향상됨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는 것이었다. 우선 유형 빈도 분석 결과, 숙달도가 향상됨에 따라 대용 응결 장치 유형 빈도는 대체적으로 높아졌으나 모든 등급에서 모어 화자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사용 빈도의 경우, 3급은 모어 화자보다 유의미하게 낮았고 6급은 모어 화자와 같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4, 5급은 모어 화자보다 대용 수식언의 사용 빈도가 유의미하게 더 높아 과잉 사용 현상이 일어난 것으로 보였다. 사용 오류율에 있어서 대용 체언, 용언, 수식언에서는 모두 숙달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중국인 학습자는 대용 응결 장치의 적절한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두 번째 연구 문제는 접속 응결 장치의 사용 양상은 숙달도가 향상됨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는 것이었다. 우선 유형 빈도 분석 결과, 숙달도가 향상됨에 따라 접속 응결 장치 유형 빈도는 대체적으로 높아졌지만 모든 등급에서 모어 화자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사용 빈도에서 연결어미의 경우, 3급은 4, 5, 6급보다 유의미하게 낮았고 4, 5 그리고 6급들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전체 등급에서 모어 화자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접속부사의 경우, 3급은 모어 화자보다 유의미하게 낮았고 4, 5급은 모어 화자와 같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6급은 모어 화자보다 사용 빈도가 유의미하게 더 높아 접속부사의 과다 사용 현상이 일어난 것으로 보였다. 사용 오류율에 있어서 숙달도가 향상됨에 따라 연결어미의 오류율이 대체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나 접속부사의 오류율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접속 응결 장치의 적절한 사용이 중국인 학습자에게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세 번째 연구 문제는 의미 구조 양상이 숙달도가 향상됨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는 것이었다. 전체 의미 관계에서 중국인 학습자가 숙달도와 상관없이 주로 대등적 의미 관계를 사용한 경향을 보였고 의미 관계 사용이 매우 단조로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숙달도가 향상됨에 따라 의미 구조 깊이가 점차 깊어지나 여전히 모어 화자의 수준에 많이 미치지 못하였다. 전반적으로 위계적인 의미 구조 형성이 중국인 학습자에게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여주었다.
네 번째 연구 문제는 의미 구조 형성 시 응집성 저해 특징들이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었다. 중국인 학습자에게서 숙달도와 관계없이 ‘도약적 의미 전개’, ‘정보의 전개 부족’, ‘혼란스러운 내용 조직’, ‘선·후행 문장과 관련 없는 내용의 삽입’, ‘의미 관계와 내용 생성의 불일치’, ‘도입 발화의 갑작스러운 중단’ 등 응집성을 저해하는 사용 특징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중국인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응결성 및 응집성 실현 능력을 설명하였다. 세부적으로 숙달도나 응결 장치 유형 또는 의미 관계 유형에 따라서 다른 양상을 보임을 알 수 있었고 전반적으로 적절한 응결 장치 사용, 다양한 의미 관계 활용을 통한 구어 텍스트 응결성 및 응집성 강화는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한국어 구어 담화 교육 과정을 개발하고 숙달도 변인과 응결 장치, 의미 관계 유형에 따라 적절한 학습 목표, 차별화된 교수 방법을 선택하여 효과적인 교육, 학습 성과를 이룰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1. 서론 1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1.2. 선행연구 검토 3
1.2.1. 문어 텍스트를 대상으로 한 연구 4
1.2.2. 구어 텍스트를 대상으로 한 연구 18
1.2.3. 구어와 문어 텍스트를 대상으로 한 연구 22
1.3. 연구 방법 및 연구 범위 26
1.4. 연구 문제 27
1.5. 연구 개요 28
2. 이론적 배경 30
2.1. 텍스트의 기본 개념 30
2.1.1. 텍스트의 정의 30
2.1.2 텍스트의 유형 32
2.1.3. 텍스트성 37
2.2. 텍스트의 응결성 38
2.2.1. 응결성 38
2.2.2. 응결 장치 39
2.2.2.1. 응결 장치의 개념 39
2.2.2.2. 응결 장치의 유형 40
2.3. 텍스트의 응집성 48
2.3.1. 응집성 48
2.3.2. 의미 구조 48
2.3.2.1. 의미 관계의 개념 및 유형 49
2.3.2.2. 의미 구조의 개념과 특징 57
3. 구어 텍스트 수집 및 분석 59
3.1. 실험 참여자 59
3.2. 텍스트 유형 및 주제 선정 60
3.3. 텍스트의 수집 및 전사 61
3.3.1. 예비 실험 진행 61
3.3.2. 본 실험 진행 62
3.4. 텍스트의 분석 방법 65
3.4.1. 응결성의 분석 방법 65
3.4.1.1. 대용 응결 장치 분석 기준 66
3.4.1.2. 접속 응결 장치 분석 기준 69
3.4.2. 응집성의 분석 방법 71
3.4.2.1. 의미 관계 분석 단위 설정 71
3.4.2.2. 의미 구조 분석 방법 75
3.5. 분석 절차 77
4. 숙달도에 따른 텍스트 응결성 실현 양상 80
4.1. 대용 응결 장치의 사용 양상 81
4.1.1. 대용 응결 장치의 유형 빈도와 사용 빈도 82
4.1.2. 대용 응결 장치의 사용 특징 97
4.1.3. 대용 응결 장치의 오류율과 오류 양상 100
4.2. 접속 응결 장치의 사용 양상 113
4.2.1. 접속 응결 장치의 유형 빈도와 사용 빈도 114
4.2.2. 접속 응결 장치의 사용 특징 125
4.2.3. 접속 응결 장치의 오류율과 오류 양상 132
4.3. 소결론 142
5. 숙달도에 따른 텍스트 응집성 실현 양상 145
5.1. 텍스트의 의미 구조 양상 146
5.1.1. 전체적 텍스트의 의미 관계 사용 비중 147
5.1.2. 세부 유형별 의미 관계 사용 비중 150
5.1.3. 의미 관계의 사용 다양성 159
5.1.4. 의미 구조의 깊이 164
5.2. 텍스트의 응집성 저해 특징 169
5.2.1. ‘도약적’ 의미 전개 170
5.2.2. 정보의 전개 부족 172
5.2.3. 혼란스러운 내용 조직 173
5.2.4. 선·후행 문장과 관련 없는 내용의 삽입 175
5.2.5. 의미 관계와 내용 생성의 불일치 176
5.2.6. 도입 발화의 갑작스러운 중단 178
5.3. 소결론 179
6. 논의 및 교육적 함의 181
6.1. 숙달도에 따른 대용 응결 장치의 사용 양상 181
6.2. 숙달도에 따른 접속 응결 장치의 사용 양상 189
6.3. 숙달도에 따른 텍스트의 의미 구조 양상 196
6.4. 텍스트의 응집성 저해 특징 201
7. 결론 및 제언 203
7.1. 요약 203
7.2. 한계점 및 제언 206
참고문헌 208
부록 218
ABSTRACT 231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