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복문화학회 한복문화 한복문화 제7권 1호
발행연도
2004.4
수록면
29 - 40 (1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Indigo Dyeing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natural dyeing that is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t has been used all over the world, and it got on the right track in the geographical or cultural conditions of each country. But it holded back for a moment as a result of the advent of the synthetic dye stuff as industry developed. However the interest of Indigo Dyeing is incresing, because it has an affinity for environment and people begin to set high value of art on it.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reconsider, take over, develop the Indigo Dyeing of Korea through compare with the Chinese and Japanese Indigo Dyeing, which have had many relationship between three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traditional spirit and strike the root deep into the modern society.
This study analysed the system of Indigo Dyeing through literature studies. Based on it. this study compared the way of dyeing in Korea, China and Japan, the color concept of blue, the practical use of textiles that is made up of Indigo Dyeing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청색의 색채관념과 남염의 유래

Ⅲ. 남염의 염색방법

Ⅳ. 한ㆍ중ㆍ일 남염의 특성 비교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09-592-0143816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