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서론
2. 초점구조와 화제초점
3. 화제초점 표지사 ‘連’
4. ‘連’자문의 화용 의미
5. 결론
<參考文獻>
<中文摘要>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현대중국어 능격동사구문의 범주와 인지적 경로 탐색
중국어문학논집
2019 .08
现代汉语方位词‘中’与韩国语‘안/속’对比研究
중어중문학
2019 .09
黃海道 대동굿.배연신굿의 巫儀式調査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1985 .01
孔子의 舞觀에 대한 小考
동아인문학
2017 .03
현대중국어 능격동사구문의 통사적 격 할당에 따른 의미 경로 영상도식
중국어문학논집
2019 .04
現代漢語‘是+個+NP’構式研究
한국중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2017 .06
명사표지 也의 기능 및 변천
중국어문논역총간
2016 .01
박용운, 수정ㆍ증보판 『고려시대사』(일지사, 2008)
역사학보
2008 .06
조선시대 사상사의 빈 공간 채우기, 신병주 저, 《남명학파와 화담학파 연구》(일지사, 2000)
역사학보
2001 .03
설화와 역사, 한국 대왕신앙의 새로운 현장적 해석 : 신종원, 2008《한국 대왕신앙의 역사와 현장》(일지사)
한국사연구
2008 .09
발해사를 객관적으로 볼 수 있을까? - 김종복, 『발해정치외교사』(일지사, 2009)
역사와현실
2011 .03
의궤로 보는 조선시대의 기록문화 -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일지사, 2005.7)
역사학보
2005 .12
가설의 추리
철학과 현실
1995 .06
상과 중국어의 결과보어
중어중문학
1998 .05
통시적 각도에서 본 ‘也’와 ‘矣’의 기능 및 그 변천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4 .06
의미지도 모형을 통한 부사 ‘也’의 의미 연구
중국어문학논집
2017 .06
과학적 추리에 관한 인지적 확률모델 연구
철학연구
2003 .09
현대 중국어 "V득/불C" 구조 연구
중어중문학
2001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