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머리말
2. 방언 사용의 동기와 기능
3. 방언 사용의 정도와 언어 태도
4. 방언 사용의 수준 차이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인터넷 통신 언어 자료에 나타난 대구 지역 고등학생들의 방언 사용 실태
우리말글
2006 .12
Perceptual Dialectology and Language Attitudes : A View from Gyeongsang Dialect Speakers
언어과학연구
2015 .12
서남방언의 하위방언구획과 네트워크 분석
언어학
2017 .04
한국인의 방언 태도에 대한 추이 연구
어문학
2014 .12
서울 거주 방언 화자의 코드 선택 양상 - 20∼30대 경상도 출신 방언 화자를 중심으로 -
언어사실과 관점
2016 .01
제주도 방언에 대한 방언 태도 추이 연구
한국어학
2019 .08
지역어의 역할과 현실대응
어문론총
2019 .01
새로 발굴한 경북의성지역어의 어휘
국어교육연구
2016 .02
국어사전과 방언의 정보화
국어문학
2016 .03
계량적 연구를 통해 본 중국 방언의 분리와 통합
중어중문학
2004 .06
북한의 방전구획에 대한 고찰
한국학연구
2001 .11
방언 교육과 시 교육 내용 연계 방향 연구
우리말글
2014 .06
울진 방언과 삼척 방언의 음운 체계 연구
우리말연구
2013 .01
표준어의 이념과 ‘사투리’의 탄생 : 1920년대 문학에서 표준어와 방언의 문제
어문학
2012 .09
방언 변화와 방언 연구의 방향
한국어학
2003 .11
漢語蘇州方言和合肥方言入聲字的比較研究
중국학
2019 .01
영어 사회방언의 한국어 번역 방법 연구
영어영문학연구
2014 .01
부산지역 대학생들의 어휘 표준어화와 언어 태도
어문학
2019 .06
남원 방언 문법 형태와 사용 양상 변화 연구 : 세대 차이 및 방언 의식 변화에 따라
국제언어문학
2017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