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신영어영문학회 신영어영문학 신영어영문학 제35집
발행연도
2006.11
수록면
161 - 176 (1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the effect of paradox and hyperbole figures in order to investigate how the love of Antony and Cleopatra can be accepted as an eternal love transcending all rational and terrestrial dimensions. On the hypothesis that as much paradox predominates in describing Cleopatra as hyperbole is applied to Antony, it is shown that paradox plays an important role in persuading readers to believe in the poet’s statements about their transcendental Love, by describing it as mysterious and by making Cleopatra mysteriously beautiful; while hyperbole is an effective means of suggesting Antony’s human limitations, resulting from his pursuit of both the Roman empire and Cleopatra’s love, as well as the image of the Antony in an imaginary world beyond reality. Shakespeare’s magical technique which unified the theme of transcendental love organically with its figurative expression may well be regarded as a way of typifying the nature of his eternal art.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09-840-016444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