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2015
1. 들어가는 말
2. 연구방법
3. pied의 의미 구조 분석
4. pied의 의미 확장 양상
5. 결론 및 향후 연구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Pied-Piping by Non-Phrase-Initial Wh-Words in English Reconsidered From the Processing Perspective
생성문법연구
2008 .01
원형 이론에 근거한 다의어의 의미 구조 분석: eye, head와 give를 중심으로 하여
영어학연구
2004 .01
QR, Interface Economy and Pied-Piping in English
어학연구
2002 .12
A Study on the Performance Differences in Translating Polysemous Words
통번역교육연구
2019 .01
다이어의 인지적 의미 특성
언어학
1996 .06
다의어 {line}의 의미 구조 분석
담화와인지
2001 .12
다의어와 다면어의 변별 기준과 의미 특성
언어과학연구
2011 .09
English Three-word Phrasal Verbs with Special Reference to Pied-piping Possibilities: A Corpus Analysis and Its Pedagogical Implications
영어학연구
2009 .01
Cyclic Spell-Out and a Two-Step Movement Approach to Pied-Piping in English WH-Questions
언어
2001 .06
Why can’t Predicative PPs be Pied-Piped?
언어
2018 .09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다의어 대조 연구 : 몇몇 신체어를 대상으로 하여
어문학
2007 .06
Pied-piping and preposition stranding in terms of Optimality Theory
영어학
2008 .06
‘착하다’의 의미 확장 양상과 의의
언어
2014 .12
학습 요소로서의 多義語 한자 선정 및 그 의미항목과 한문 용례 -2007 개정 교육과정 한문Ⅰ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漢字漢文敎育
2013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