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의 교수 철학과 신념, 그리고 지식은 교수 내용 및 방법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공교육에서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 학생의 교육을 담당하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 그리고 학습상담사의 초기문해 교수법 대한 이론적 경향성과 파닉스 지식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102명의 특수교사와 일반교사, 학습상담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음운분석적 접근법에 대한 이론적 경향성에서는 세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통언어적 접근법에 대한 이론적 경향성 및 파닉스 지식 수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사후검증결과 통언어적 접근법에 대한 이론적 경향성은 일반교사가 학습상담사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파닉스 지식 수준은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학습상담사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이들의 상이한 교육적 배경에서 온 것으로 추론되었다.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 교육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파닉스 교수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교사교육 및 연수의 내용을 개선하여 교수자의 이론적 경향성과 지식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eachers’ practices are influenced by their beliefs and knowledge. We conducted a survey to three groups of teachers who teach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the current public education system. The surve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ir instructional beliefs regarding early reading and writing instruction as well as to assess their phonics knowledge. Thirty eight general classroom teachers, 21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43 learning consultants responded to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eacher groups about the instructional beliefs in phonics based approach.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the beliefs in whole language based approach and phonics knowledge. Post-hoc analyses revealed that general education teachers had a stronger belief in whole language based approach than learning consultants. Also,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had higher level of phonics knowledge than learning consultants. Authors suggested that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might have resulted by their differences in educational background. It was discussed that teachers’ instructional beliefs and knowledge level should be considered in the teacher placement and in the development of teacher workshops. In addition, teacher education programs need to be improved in preparing teachers for effective phonics instruction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