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문】
1. 들어가기
2. 첫 번째 거짓-문제: 몸이 마음에 영향을 미친다?
3. 두 번째 거짓-문제 : 마음이 몸에 영향을 미친다?
4. 데카르트 이원론에서 존재론적 이원론으로 : 하나의 몸이 아닌 두 개의 몸
5. 나가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창발적 이원론은 데카르트적 이원론을 극복하였는가?
인간연구
2016 .07
삶과 자기-촉발 - 미셸 앙리의 역동적 현상학
현상학과 현대철학
2022 .03
감성과 지향성 ‒ 미셸 앙리 현상학에서 세계의 현상학적 지위 ‒
철학
2022 .05
데카르트, 후설 그리고 앙리 : 미셸 앙리의 데카르트 ‘코기토’에 대한 해석과 질료 현상학
현상학과 현대철학
2019 .03
우리는 결코 “코기토”였던 적이 없다 -포스트휴먼주의 관점에서 다시 보는 데카르트 이원론-
철학사상
2022 .11
미셸 앙리와 정신분석 -앙리의 무의식 독해와 비판-
철학∙사상∙문화
2017 .11
삶·생명의 망각과 회복: 미셸 앙리의 종교적 체험의 현상학에 대한 해명과 검토
신학전망
2022 .09
미셸 앙리의 구체적 주체성과 몸의 현상학
현상학과 현대철학
2017 .03
미셸 앙리의 현상학을 통해 본 데카르트의 코기토와 프로이트의 무의식
현상학과 현대철학
2021 .03
민주주의와 삶 : 미셸 앙리의 민주주의 비판
현상학과 현대철학
2017 .09
돌봄, 주체 그리고 삶 : 미셸 앙리와 돌봄에 대한 다른 접근 가능성
현상학과 현대철학
2024 .09
기독교 전통에 나타난 교회와 세속의 이원론에대한 기독교 윤리적 비판: 플라톤의 이원론의영향을 중심으로
기독교사회윤리
2016 .01
미셸 앙리의 삶의 현상학 -후설의 지향성을 넘어 비지향적 파토스로-
철학∙사상∙문화
2022 .06
칼 융의 분석심리학과 쉘링 철학의 관계에 대하여
동서철학연구
2017 .01
삶과 말 : 미셸 앙리의 두 언어 철학
현상학과 현대철학
2023 .06
이원론적 신경과학은 가능한가?
동양문화연구
2017 .01
라자리-라덱과 피터 싱어의 실천이성의 이원론 극복 논증에 관한 연구
윤리연구
2024 .03
육체와 정신의 동서 철학적 관점의 비교 : 왕양명과 베르그손을 중심으로
양명학
2015 .12
만들어지는 자아 : “이성 vs. 감성”을 너머
철학연구
2018 .11
미셸 앙리의 질료 현상학
철학논집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