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칼 융의 무의식 개념과 정신에서의 자기인식의 의미
동서철학연구
2020 .01
피히테, 셸링, 헤겔에게 있어서 칸트의 자기의식의 전개
철학연구
2016 .01
시간의 계보학 - 셸링의 시간 개념과 시원에 관한 고찰 -
동서철학연구
2022 .09
『태을금화종지』에 대한 융의 해설
동서비교문학저널
2018 .12
칼 융의 무의식에 관한 탐구
철학논총
2017 .04
현상학의 근원적 토대로서 ‘자연’ 개념 : 셸링과 메를로-퐁티의 비교 관점에서
철학연구
2017 .05
미셸 앙리의 신체철학 : 하나의 몸이 아닌 두 개의 몸
현상학과 현대철학
2015 .03
근원과 전체를 향한 대학의 충동 : 셸링의 대학론과 데리다의 존재신학적 번역
인문과학연구
2018 .03
셸링 『인간자유의 본질에 관한 철학적 탐구』에서 악의 현실성과 극복에 대한 철학적 해명과 종교적 성찰
철학연구
2023 .05
자연과의 공생과 연대, 그리고 제휴기술 : 셸링의 자연철학과 블로흐의 기술철학을 중심으로
철학논총
2016 .01
작품 분석에서 융의 ‘개성화’ 이론의 재고
영어영문학
2015 .05
융의 개성화 과정에서 사랑의 문제
윤리연구
2017 .01
종교와 과학 담론으로 바라본 융의 분석심리학
신학사상
2015 .01
주희(朱熹)의 중(中)개념 연구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7 .03
부정성, 예술직관 그리고 전회
헤겔연구
2015 .01
동력학적 자연학으로서의 셸링의 자연철학 : 초기 셸링의 자연철학에서 근원적 힘들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현상학과 현대철학
2018 .03
한국어 ‘X+중(中)’ 구성에 대한 연구
한국어학
2022 .08
창발적 이원론은 데카르트적 이원론을 극복하였는가?
인간연구
2016 .07
마음의 종교와 마음의 과학: 칼 구스타프 융의 통합적 인식론을 중심으로
종교문화비평
201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