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I. 들어가는 말
II. 데카르트의 인간론과 그 난점들
III. 창발적 이원론의 도전
IV. 창발적 이원론과 그 난점들
V. 나오는 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미셸 앙리의 신체철학 : 하나의 몸이 아닌 두 개의 몸
현상학과 현대철학
2015 .03
우리는 결코 “코기토”였던 적이 없다 -포스트휴먼주의 관점에서 다시 보는 데카르트 이원론-
철학사상
2022 .11
기독교 전통에 나타난 교회와 세속의 이원론에대한 기독교 윤리적 비판: 플라톤의 이원론의영향을 중심으로
기독교사회윤리
2016 .01
홉킨즈와 예이츠의 비교연구 : 이원론에 대한 저항
동서비교문학저널
2017 .03
이원론적 신경과학은 가능한가?
동양문화연구
2017 .01
라자리-라덱과 피터 싱어의 실천이성의 이원론 극복 논증에 관한 연구
윤리연구
2024 .03
만들어지는 자아 : “이성 vs. 감성”을 너머
철학연구
2018 .11
14~15세기 성리학의 수용과 조선적 문명교화론의 탄생
역사비평
2018 .08
데카르트적 주체에 대한 한 가지 독해: 경이, 사랑, 관대함의 정념을 중심으로
美學(미학)
2018 .12
실체이원론과 김재권의 짝짓기 문제
철학적분석
2022 .06
Political Dualism surrounding Nuclear Energy in the Era of Climate Change : From a Theological Perspective
신학과 사회
2023 .02
Yeats on Dualism and Poetic Form: The Three Case Studies
한국 예이츠 저널
2023 .04
칼 융의 분석심리학과 쉘링 철학의 관계에 대하여
동서철학연구
2017 .01
퇴계退溪와 플라톤의 이원론적 세계관 고찰
국학연구
2023 .03
“몸”에 대한 현대인들의 인식이 기독교 신앙교육에 주는 함의
기독교교육정보
2019 .06
트랜스-/포스트휴머니즘에 대한 신학적-비판적 고찰 - 신학적 인간론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19 .10
실천적 유물론에 대한 변증법적 단상: 물질과 정신의 이원론을 넘어
영어영문학연구
2021 .12
요가철학의 이원론과 자각의 단계
인문과학연구
2015 .03
베다우의 약한 창발은 존재론적 창발인가?
동서철학연구
2021 .01
후설에서 상호주관성에 이르는 데카르트적 길과 비데카르트적 길
현상학과 현대철학
2019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