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요약
Abstract
1. 들어가는 글
2. 장소마케팅, 장소브랜딩, 그리고 장소만들기
3. 문화콘텐츠산업을 통한 창조적 장소만들기 : 사례의 적용 및 검토
4. 글로컬라이제이션과 문화기반 창조적 장소만들기의 전략방향
5. 나오는 글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글로컬시대 동아시아 도시지역의 문화적 정체성에 기반한 장소만들기 전략
국제지역연구
2018 .01
영상콘텐츠를 통한 창조적 장소이미지 구축 과정에 대한 연구 - 일본 아니메 성지순례 사례를 중심으로 -
문화역사지리
2015 .01
장소 연구의 핵심 주제 ‘장소의 정감’ 재논의와 장소 만들기에서 그 중요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018 .02
장소기반 환경교육을 통한 학습자와 자연간의 상호작용 및 장소감 양상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6 .06
포스트코로나 시대, 글로컬라이제이션과 경제지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21 .01
삶과 공간, 그 의미 확장의 체험주의적 해명
감성연구
2022 .02
채만식 소설 「탁류」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학회지
2021 .08
글로컬라이제이션의 이론화 : 3가지 해석
글로컬 창의 문화연구
2020 .12
타자들의 장소
공간과 사회
2022 .06
대구 봉산문화거리의 장소마케팅 전략을 위한 장소평가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023 .08
장소 브랜드 복잡성이 장소 정체성 지각 수준에 미치는 영향: 광주광역시민을 대상으로
관광연구저널
2023 .09
장소 브랜드 복잡성, 장소 만족도, 장소 정체성, 장소에 대한 전념, 그리고 구전 간의 구조적 관계 -광주광역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관광학연구
2021 .01
장소기반 환경교육에서의 환경의식과 장소감 변화 : 거주지역 생태탐사 프로그램을 사례로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5 .12
다문화교육의 장소에 대한 비판교육학적 접근
사회과교육
2016 .06
여행 프로그램을 통해 본 장소 경험 : <신서유기> 시리즈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2017 .06
장소 스키마 이론의 사회과 지리교육적 함의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016 .01
일상공간 내 어린이 제3장소에 대한 연구
사회과교육
2022 .06
지방자치단체의 내부 브랜딩 - 내부 마케팅과 리더십을 중심으로 -
마케팅관리연구
2015 .07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관광기반형 장소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 목포시 원도심을 사례로 -
지역사회연구
2020 .09
도시관광에서 장소의 의미와 애착 : Visitor Employed Photography 적용
관광연구논총
2016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