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홍달오 (중앙대학교)
저널정보
담화·인지언어학회 담화와인지 담화와인지 제23권 제4호
발행연도
2016.11
수록면
159 - 181 (23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olysemization of malin the image-schematic theory of cognitive linguistics. There are two aspects of symmetric/asymmetric image schemas in the prototypical meaning of mal-. Here, the symmetric image schema shares certain meanings with anh-. It is when mal- is combined with nouns or occurs in repetitive ending constructions that such a symmetric image schema is reflected. To the contrary, the auxiliary verb -ci mal- reflects the asymmetric image schema between [+action area] and [-action area]. Here, -ci mal- has the meaning of ‘ban’ as it [+excludes] the [+action area] of the main verb. Also, the auxiliary verb -ko mal- forms a boundary of [+action area], and hence the agent goes through and enter that. Due to such aspects, modal meanings like strong will, regret etc. are derived. Hacamaca also reflects the asymmetric image schema. It reflects the image schema of going through the boundary, entering the [+action area], and then quickly escaping from that to shift to the [-action area] of a new phase. Thus, it has the meaning of ‘quick conversion of action.’

목차

1. 서론
2. ‘말-’의 원형 의미
3. ‘말-’ 의미 확장 양상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2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701-001906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