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Introduction
2. Previous Studies
3. Lexical and Grammatical Usage of mal-
4. Grammatical Issues and Implication
5. Conclusion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Emergence of Stance Markers from Auxiliaries in Korean : Grammaticalization of tay- ‘touch’ and ssah- ‘pile up’
담화와인지
2016 .08
한국어 상 보조용언 ‘가다’와 ‘오다’의 문법화 연구 : 문법화 정도를 중심으로
담화와인지
2018 .11
언어 사용역에 따른 보조용언의 사용 양상 연구
언어과학
2021 .08
論粵語句末助詞 「嚟」 的用法及其虛化過程
중국어문학논집
2016 .12
Semantic-Pragmatic Development of the Spatial Noun The ‘ground’: From a Grammaticalization Perspective
언어와언어학
2016 .01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아랍어 조동사의 유형론적 고찰
언어연구
2016 .01
보조용언 버리다 에 대한 인지의미론적 해석
인문연구
2018 .09
補助用言 構文의 統合 關係: 實驗 言語學的 接近 –‘-고 말-’ 구문을 중심으로–
어문연구(語文硏究)
2024 .03
On Polygrammaticalization of See-Derived Auxiliaries in Korean
담화와인지
2019 .05
Verb-derived Simile Markers in Korean : A Grammaticalization Perspective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6 .11
`말-`의 다의 현상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탐색 : `않-`과의 의미 비교를 중심으로
담화와인지
2016 .11
한국어 동사의 문법화에 대하여 -조사화와 어미화를 함께 일으키는 동사 중심으로-
담화와인지
2020 .02
중세․근대국어 보조사 연구의 쟁점과 과제
국어사연구
2016 .01
韓國語 否定 標識 ‘-지 말-’에 대하여 - 禁止 標識로서의 設定可能性을 中心으로 -
어문연구(語文硏究)
2017 .01
情态助动词“难”的语法化研究
중국언어연구
2017 .10
말뭉치에 나타난 보조용언의 연쇄 양상 고찰
언어사실과 관점
2020 .01
Clausal Architecture of Auxiliary Verb and Periphrastic Causative Constructions in Korean
언어학
2017 .01
한국어 어휘격, 부사격 조사의 문법화 양상
어문연구
2018 .01
'버리다'에 대한 문법화 연구-4단계의 문법화 과정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2023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