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Introduction
2. Properties of the Korean Language
3. Method
4. Results and Discussion
5. Conclusion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기계학습을 이용한 역사 텍스트의 저자판별: 1920년대 개벽 잡지의 논설 텍스트
언어와 정보
2018 .02
새로운 여성자아의 탄생: 주잇의 「흰 왜가리」
영미어문학
2015 .09
현대중국어의 ‘종결성’과 ‘종결성분’ ― 어기조사와 보어 구문을 중심으로
중국어문논총
2020 .01
朝鮮中期文人申欽的蘇軾觀
한국중어중문학 우수논문집
2017 .11
고대 동아시아의 使臣 왕래와 符節 - 韓·中 관계를 중심으로 -
숭실사학
2018 .01
코퍼스를 활용한 신소설 문체 분석 시론: 『치악산』과 『홍도화』의 작가와 문체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
2015 .01
On the Ambiguity of (Negative) Interrogatives
생성문법연구
2015 .01
‘한 단락 쓰기’ 교육을 위한 문장 쓰기 오류 분석-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의단락 쓰기 비교를 중심으로 -
언어와 문화
2015 .01
焦點標記詞 ‘連’의 품사 고찰
중국어문학논집
2020 .06
<오루노코>와 아프라 벤의 작가성
18세기영문학
2017 .01
A Corpus-based analysis of the usage of Korean markers ?(n)un and -i/ka in editorial texts
언어와 정보
2015 .12
日本語の可能文と自発文の連続性について –条件可能文と実現可能文の分析から–
일본연구
2015 .01
Hearer-Addressed or Not, That’s the Question
현대문법연구
2022 .12
중국어 명령문의 공손화법 연구
중국어문학논집
2019 .08
Authorship Attribution in Huayan Texts by Machine Learning using N-gram and SVM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and Culture
2018 .12
Evidence for ‘like’ as a Focus Marker
어학연구
2021 .04
문장종결어미의 내포 가능성과 화행 투사범주
생성문법연구
2018 .01
한국어 접속문과 중국어 접속문의 대조 분석 - 명시어 구조 접속문을 중심으로
한중언어문화연구
2022 .11
Planning Case Marking Information in Language Production
언어
2021 .06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세 문장 쓰기’ 과제 개발 연구 : 한국어 교재 분석을 바탕으로
국어국문학
2017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