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저자정보
유경상 (교통시스템연구실) 홍상연 (교통시스템연구실) 김옥선 (교통시스템연구실) 박세현 (교통시스템연구실)
저널정보
서울연구원 서울연구원 정책과제연구보고서 [서울연 2017-PR-44] 개인교통수단 보급확대에 따른 대응방안
발행연도
2018.3
수록면
1 - 110 (11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Electric-motored personal mobility devices(PM) market has rapidly grown in Korea recently. This study analyzes problems PM can cause and introduces strategies to manage PM in Seoul.
In order to decide whether to promote or regulate the use of PM in Seoul,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role of PM as a means of transport in Seoul.
It turned out that PM is not useful as a transportation mode to be utilized for first & last miles of subway trip in most regions. However, to whom have to walk long distances to access or egress from subway stations because of the poor bus network, PM can be a useful mode. PM can be also useful in regions where public bike can not be utilized for first & last miles of subway trip because of geographical barriers.
Meanwhile, In regions where private cars travel short distance, PM could be used instead of them. Private car usages in such regions are expected to partially decrease if PM were promoted to use.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 strategies to manage PM in Seoul.
First, PM should be regulated while the central government sets the legal framework for PM. Without this legal framework, PM could threaten the safety of other road users such as pedestrians.
Second, Even if PM are regulated, Seoul should cope with the continuous increase of PM usage. Seoul need to operate Test-beds to test safety of PM and build a guideline for PM.
Third, after the central legislations for PM are enacted, Seoul could support PM as a transportation mode for first & last miles of subway trip and as an alternative mode to private car with short trip distance.
Fourth, in order to support PM, roads need to be maintained to provide continuity of the space on which PM operates. To ensure continuity of the space for PM operation, Seoul need to build more bike lanes, reduce speed limits, and adopt low speed lanes in PM
supportive regions.
Lastl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legal discussions on PM. It is necessary, through this, that PM-related legislation must include safety standards for all types of PM and consider Seoul’s road and traffic conditions.

목차

[표지]
[목차]

그림
Contents
[요약]
[01 개인교통수단의 운행 증가에 적절한 대응 필요]
1_이용자 급증에도 체계적인 관리방안 부재
2_중앙정부의 관련 법ㆍ제도정비에 맞춰 미리 준비
3_개인교통수단의 위상과 역할에 대한 정립이 우선
[02 개인교통수단의 현황과 관련 법․제도]
1_개인교통수단은 종류와 형태가 매우 다양해
2_개인교통수단의 빠른 보급에 따른 안전 위협
3_해외 도시별로 개인교통수단에 대한 대응방식 달라
4_국내에서는 16세 이상 운전, 차도로 통행해야
[03 서울시에서 개인교통수단의 역할은?]
1_이동용 교통수단으로서의 잠재력은 보유
2_대중교통 연계수단으로서 역할은 크지 않아
3_승용차 통행의 일부를 대체하는 역할 기대
[04 개인교통수단 증가에 따른 단계별 대응방향]
1_단기 : 규제와 함께 운행안전을 위한 미래환경 준비
2_중ㆍ장기: 지역별 교통여건에 따른 맞춤형 대응
3_결론 및 정책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359-0033565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