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외식조리를 전공하는 전문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긍정적 신념의 일종인 내재적 동기가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관계에서 교수-학생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내재적 동기와 취업불안의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내재적 동기는 취업불안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내재적 동기를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여 추가적인 분석을 한 결과 내재적 동기가 높은 집단의 경우 내재적 동기에 대해 높게 지각할수록 취업불안에 대해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내재적 동기가 낮은 집단은 내재적 동기에 대해 높게 지각할수록 취업불안에 대해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재적 동기와 취업불안의 하위변인 중 취업불안 유발상황의 관계에 있어 교수-학생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내재적 동기가 높은 집단에서는 교수-학생상호작용의 모든 하위변인인 민감성, 수용접근성, 신뢰성에 대해 높게 지각하면 내재적 동기가 높을수록 취업불안 유발상황이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내재적 동기가 낮은 집단에서는 교수-학생상호작용 중 신뢰성에 대해 높게 지각하면 내재적 동기가 높을수록 취업불안 유발상황이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내재적 동기와 취업불안 상태의 관계에서 교수-학생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전제 집단과 내재적 동기가 낮은 집단의 경우 교수-학생상호작용은 내재적 동기와 취업불안 상태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내재적 동기가 높은 집단에 있어서는 교수-학생상호작용의 하위변인 중 민감성과 수용접근성만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내재적 동기가 높은 집단에서는 교수-학생상호작용 중 민감성, 수용접근성에 대해 높게 지각하면 내재적 동기가 높을수록 취업불안 상태가 더 낮아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내재적 동기를 높여야지만 취업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교수-학생상호작용 중 신뢰성에 기반한 상호작용이 취업불안을 낮출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Targeting students majoring in food service and cooking,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a kind of positive belief, on employment anxiet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in their relationship. The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employment anxiety, intrinsic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anxiety. However, in an additional analysis conducted by separating the group with high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group with low intrinsic motivation, in the former group, the higher the intrinsic motivation was perceived, the lower the employment anxiety was perceived. However, in the latter group, the higher the intrinsic motivation was perceived, the higher the employment anxiety was perceived. Second, as a result of tes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causes of employment anxiety, one of the sub-variables of employment anxiety, in the group with high intrinsic motivation, if all the sub-variables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sensitivity, acceptability/accessibility, and reliability were perceived to be high, the higher the intrinsic motivation, the lower the causes of employment anxiety. In the group with low intrinsic motivation, if reliability is perceived to be high i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the higher the intrinsic motivation, the lower the causes of employment. As a result of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employment anxiety, in the presupposed group and the group with low intrinsic motiva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had no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employment anxiety. However, in the group with high intrinsic motivation, only sensitivity and acceptability/accessibility among sub-variables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had mediating effect.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in the group with high intrinsic motivation, if i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sensitivity and acceptability/accessibility are perceived to be high, the higher the intrinsic motivation, the lower the causes of employment anxiety.
In conclusion, employment anxiety could be lowered only when intrinsic motivation was high, and especially i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interaction based on reliability wa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lower employment anx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