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영화에서 플래시백을 통한 여성의 트라우마 재현
현대영화연구
2017 .01
현대미술에 나타난 5.18 광주민주화운동과 트라우마의 치유
한국예술연구
2017 .12
트라우마 치유환경 디자인 원칙 및 기법 연구 - 세월호 참사 경험자를 대상으로 -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2024 .12
일본군 ‘위안부’ 소재 다큐멘터리의 기억 기록과 담론 전개 방식 : <낮은 목소리> 3부작, <나의 마음은 지지 않았다>, <레드마리아2>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2016 .06
1980년대 이후, 한국 ‘분단영화’에 재현된 ‘역사적 트라우마’에 관한 연구
영화연구
2015 .03
‘위안부’ 서사의 만화적 재현 : 김금숙의 『풀』을 중심으로
애니메이션연구
2021 .03
“The Safety of South Korea has Fallen”: A New National Trauma of Collapsed Community Ethics in Korean Disaster Films
영화연구
2020 .06
21세기 초 한국영화의 미디어 기억과 역사적 트라우마: 〈올드보이〉
씨네포럼
2022 .12
트라우마 치유공간에 관한 연구 : 역사적 트라우마 치유공간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6 .05
집단적 기억 개념을 통한 동시대 한국 미술 사례 분석- ‘만들어진 전통’의 전복과 비물질적 기념비 -
예술과 미디어
2017 .01
진실을 조형하는 허구의 미학과 윤리 : 김숨의 『한 명』에 나타난 위안부 형상과 문학의 정동
한국예술연구
2018 .03
동시대 트라우마 미술에서 징후로서 지표
현대미술학 논문집
2022 .06
보드랍게
한국독립영화협회 기타간행물
2021 .01
부유하는 디아스포라 - 위안부 여성 디아스포라와 다큐멘터리 사진에 관한 재현방식의 연구 -
기초조형학연구
2018 .10
영화 〈버닝〉: 주체의 욕망이 상연되는 팬터마임-환상의 무대, 그리고 트라우마
영화연구
2018 .09
한국 근현대사 영화의 정치사적 계기들 2003~2019
영상문화콘텐츠연구
2024 .10
트라우마 이미지와 잃어버린 시간의 복원: 빅터 버긴(Victor Burgin)의 ‘시네마틱 헤테로토피아(Cinematic Heterotopia)’
현대영화연구
2020 .01
트라우마센터 실내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8 .10
자살생각을 가진 가정폭력피해여성의 사이코드라마를 통한 트라우마 치유경험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2022 .12
포스트 코로나 영화정책 2022 - 디지털 미디어로 한 폭 더 넓어지는 한국영화
기타 간행물
2021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