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序言
2. 이론적 논의: 신생민주주의에서 민간-군부 간 관계
3. 군부에 대한 수직적 통제: 헌법적 집정관주의의 재현
4. 군부에 대한 수평적 통제: 사회적 균열의 심화
5. 군부의 자기 통제
6. 結語: 정치발전의 미래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미얀마 군부 지배의 역사적 고찰 - 그 정치 동력의 구조
역사비평
2021 .08
군사통번역의 특성과 군통번역사의 자질
통역과 번역
2024 .04
페루 군부정권의 정치개혁 : 1968-1980
스페인어문학
2023 .03
1963년 박정희 군사정부의 민정이양 과정과 미국의 개입
역사학보
2022 .12
군대에 묶인 대학생의 몸 — 1969~1971년 대학 교련과 교련 반대운동 —
사림
2024 .01
On the Applications of Computer-Assisted Language Learning in a Military English Context
영어영문학
2017 .05
4월혁명과 5·16군사쿠데타에서 미국의 역할
역사비평
2015 .11
한국군(軍)의 통역자원 운용에 관한 연구: 미국과 독일 사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번역학연구
2022 .10
1961~1963년 군사정부의 중립국 외교의 전개와 성격
역사비평
2021 .05
고려후기 무관층의 구성과 기능 분석 : 『고려사』열전 등재 인물을 중심으로
역사와실학
2015 .04
5·16 쿠데타와 ‘서비스’의 젠더정치
역사비평
2021 .05
唐宋變革期 都城의 입지 변화 -군사적 요인을 중심으로-
서강인문논총
2021 .08
일본군위안소에서 대만군 ‘特約茶室’로
중국어문학논집
2019 .10
군선교에 관한 제반 이해와‘ Vision 2020’ 에 관한 신학적 재고
개혁논총
2015 .01
군사 한국어 교재의 구성 원리와 실제 -국방어학원 『외국군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을 중심으로-
한글
2020 .12
The Role of the Korean Military as a Bridgehead for the Spread of English
영어영문학21
2017 .01
Development and Influence of Military Medicine during the Korean War: the Medical Field Service School and Training in the U.S.
의사학
2023 .12
고려시대 閱兵의 시행과 그 의미
군사연구
2020 .01
계엄이라는 ‘체계’의 형성, 1952~1972
역사비평
2025 .02
한국의 군사통역 현황과 장래 교육 방향 연구
통번역학연구
201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