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동규 (합동참모본부) 최정연 (합동참모본부)
저널정보
한국번역학회 번역학연구 번역학연구 제23권 제4호
발행연도
2022.10
수록면
147 - 174 (2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Specialized military interpreters have not been readily fostered despite their recruitment since 2002, 2001 and 1997, respectively by the Republic of Korea Army, Navy, and Air Force to support the stationing of z.S. Forces Korea. This paper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recruitment and employment of professional military interpreters through comparing cases in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Armed Forces. The United States utilizes Military Occupational Specialty 09L, along with contracting private and corporate interpreters. German military interpreters are soldiers with required language competencies and private contractors recruited through open advertisements. Two implications were derived. Firstly, comparing the military operational theater and number of military personnel dispatched overseas, Korea‘s demand remained at a relatively small number. With the expansion in defensive cooperation and support for international military operations, flexible employment of military interpreters is required. Secondly, in preparation of the anticipated decline of population that will lead to a possible lack of military personnel, conducting additional studies on military interpretation outsourcing is in need.

목차

1. 서론
2. 군사 통역의 특징과 우리 군의 통역자원
3. 미국과 독일의 군 통역자원 운용
4. 시사점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