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구술평가의 특성
외국의 구술평가 사례 1: 다양한 활용
외국의 구술평가 사례 2: 지필평가 대체
국내 구술평가 사례
채점기준표
고려할 점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학습자의 성장을 돕는 구술평가 : 스웨덴의 평가체계를 통해 바라본 구술평가
함께 여는 국어교육
2022 .07
지식의 기억, 활용, 소통을 공부하게 하는 구술평가 : 막상 해 보면 쉬운 구술평가
함께 여는 국어교육
2022 .07
책 유형별 구술평가 질문 : 이 질문들로 구술평가를 해 보세요
함께 여는 국어교육
2022 .07
공공역사와 한국의 구술사
현대사와 박물관
2020 .12
구술자료 생산 및 활용 현황과 구술사의 공공성(Publicness)
구술사연구
2023 .03
삶의 태도를 배우는 책 읽기와 독서 구술평가
함께 여는 국어교육
2020 .07
구술아카이브의 데이터 검색과 공유의 한계점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구술사연구
2024 .04
구술자서전의 성과와 과제 : 20세기민중생활사연구단 한국민중구술열전 을 중심으로
구술사연구
2024 .04
덴마크의 구술평가 엿보기 : 덴마크 현직 교사와 인터뷰로 알아본 구술평가
함께 여는 국어교육
2022 .07
구술 말뭉치와 구술 자료의 요건
어문론집
2023 .09
구술평가, 인터뷰부터 좌담회까지
함께 여는 국어교육
2022 .07
‘구술성’의 문화사적 기여와 인문학적 가치
한국한문학연구
2015 .03
기관구술채록의 진단과 과제: 국사편찬위원회 구술채록사업을 중심으로
구술사연구
2015 .01
문법 교육에서의 구술 평가 적용 방안
한국초등국어교육
2020 .01
<구술에세이>한국 민주화운동을 도운 사람들 - 일본지역 민주인사 구술사업 수행기
구술사연구
2016 .01
디지털 시대, 그림책과 아동문학에 나타난 구술 서사의 귀환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019 .12
독립운동가의 가족 이야기와 트라우마의 재현: K대학교에서 진행한 구술사·연극 융합수업의 경험 분석 (Ⅱ)
구술사연구
2018 .01
경계 넘기와 마이너리티의 구술사
지식의 지평
2020 .05
한국 현대사 연구에서 구술사 연구의 탄생과 역할, 과제
구술사연구
2016 .01
구술사를 활용한 민속전시 연구 - ‘촌로의 한평생’에서부터 ‘나의 출산이야기’까지, 국립민속박물관특별전시를 중심으로
구술사연구
201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