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Abstract
1. 서론
2. ‘X+중’ 구성에서의 ‘중(中)’의 의미
3. ‘X+중’ 구성의 형태적 특징
4. ‘X+중’ 구성의 문법적 특징
5.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주희(朱熹)의 중(中)개념 연구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7 .03
대산 이상정의 경(敬)사상 고찰
한국사상사학
2018 .01
『태을금화종지』에 대한 융의 해설
동서비교문학저널
2018 .12
가문 내 ‘불우한 탕자’의 계보와 그 변주-<완월회맹연>의 정인중을 중심으로-
고전문학연구
2018 .01
윤중호 시의 인물 특성 연구
어문연구
2023 .03
현대 한국어 ‘X+상(上)’, ‘X+하(下)’ 구성의 의미와 문법
한중인문학연구
2023 .06
毅堂學派의 문학에 나타난 用夏變夷 수용과 계승
율곡학연구
2021 .09
안중근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사건의 예술적 해석 : 정기탁과 그의 영화 <애국혼>
통일인문학
2023 .09
‘헤테로토피아’적 지성, 90년대 시적 주체의한 갈래(1) -장정일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022 .09
時間関係節に見られる日本語と韓国語の様相―「~中」と「~後」を中心に―
일본학보
2015 .01
황정은 소설에 나타난 ‘공감’의 사유와 ‘공존(共存)’하는 연대의 가능성
인문과학연구
2021 .01
안중근 의거에 대한 중국인의 반향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20 .02
김정은시대의 북한 초급중학교 국어교과서 분석
독서연구
2018 .01
오정희의 「옛우물」 다시 읽기
시학과 언어학
2015 .01
‘적대적 협력’의 이중성이 쌓아 올린 댐: 김대중 정부 시기 평화의 댐 증축사업
한국과학사학회지
2023 .04
칼 융의 사상과 다석 류영모 사상의 비교분석
종교연구
2017 .04
<내 친구 정일우>에 나타난 김동원 작품세계의 변화
건지인문학
2020 .01
칼 융의 분석심리학과 쉘링 철학의 관계에 대하여
동서철학연구
2017 .01
‘김대중기념관’과 기억의 정치학
역사비평
2018 .02
작품 분석에서 융의 ‘개성화’ 이론의 재고
영어영문학
2015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