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최혜주 (한양대학교)
저널정보
한국민족운동사학회 한국민족운동사연구 한국민족운동사연구 제108호
발행연도
2021.9
수록면
83 - 129 (4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오다는 1908년 내한이후 37년 동안 조선에 살면서 총독부의 교과서 편찬사업을 주도하고 경성제대 교수로 활동하였다. 또한 일본인의 조선연구 단체 결성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식민교육의 기초를 만들어 식민사관 창출에 기여한 인물이다. 첫째, 오다는 경성제대의 사명을 동양문화를 연구하고 식민관료를 양성하여 양 민족이 융화 결합하는 사업을 완성하는 것에 두었다. 이 사명은 ‘일본정신’을 원동력으로 추진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는 ‘일본정신’을 조선에 부식시키는 데 일생을 바친 인물이다. 둘째, 경성제대 사학과 교수들은 조선 문화와 역사를 연구한다는 미명하에 역사왜곡에 앞장섰다. 오다는 조선의 역사를 연구하고 이해하는 것이 ‘일선 융화의 결합’에 가장 필요한 일이라고 보았다. 경성제대 교수로서 학생들에게 왜곡된 조선사를 주입하여 일본의 조선 지배를 합리화시키는 것이 목적이었다. 셋째, 오다의 조선사 저술은 3.1운동 이후 한국인의 항일운동에 대항하여 식민사관에 입각한 조선사를 재구성할 필요에서 나왔다. 일본의 역사보다 2천년이나 앞서있는 단군조선의 역사를 왜곡하여 단군을 부정하였다. 아마테라스의 동생 스사노오가 조선에 건너갔다는 일선동조론과 상고시대 조선의 남부는 일본의 식민지였다는 타율성론이 만들어졌다. 넷째, 오다는 청구학회 활동을 하면서 조선사적 해제, 천주교 박해와 홍경래 난에 관한 연구를 확대하여 당쟁사 연구에 매진하였다. 조선 멸망의 원인도 일본의 침략에 의한 것이 아니라 당쟁 때문이라는 당파성론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한국과 일본의 근친성을 강조하는 일선동조론과 역사적으로 고대부터 일본의 지배를 받아왔다는 타율성론이 식민사관으로 정립되었다. 오다는 식민지배의 기원과 정당성을 찾는 이론을 경성제대 교수 및 청구학회 활동을 하면서 전파시켜 나간 것이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